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누에

늘피네 2014. 7. 16. 06:20

누에 유충(가잠) 무엇인가?

혈당강하 당뇨병
에 효험

 

 혈당강하작용, 당뇨병을 치료하는 누에 유충

[누 에, 가잠(家), SILKWORM

기원: 누에나방과(Bombycidae) 곤충. 누에나방(가잠아=家蠶蛾) Bombyx mori L.의 유충(幼蟲)이다.

형태:
몸은 원통형(圓筒形)으로 회색을 띠며, 암색반문(暗色斑紋)이 있고, 황갈색 단모(短毛)가 소생(疏生)하여 있으며, 머리를 제외하고 13마디로 되어 있다. 머리는작고 단단하며 홑눈, 더듬이, 입술, 토사관(吐絲管) 등이 있다. 앞 3마디는 흉부이고 그 뒤로 10마디는 복부이며, 제 1~3마디에는 각 각 3쌍의 가슴발이 있고 제 6~9마디에는 각 각 4쌍의 배발이 있다. 제 11마디 등면에는 작은 뿔 모양의 돌기(突起)가 있는데 이것을 꼬리뿔이라고 한다. 제 13마디의 배면에는 꼬리발이 1쌍 있다. 체내에는 사선(絲腺)이 있어 사질(絲質)을 분비 할 수 있으며 토사(吐絲)하여 고치를 짓는다

 

누에 나방


간장과 신장을 튼튼히 하여 양기에 효험

음위증, 유정, 백탁, 피오줌, 궤양, 덴데, 헌데, 남자의 발기부전, 음경삽통, 동상, 탕화상,

누에 나비는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Bombyx mori L.)의 곤충인 수컷의 전체를 말한다. 누에나방의 암수컷의 몸에는 흰 비늘이 빽빽이 덮여 있다. 몸길이는 1.6~2.3cm이다. 날개의 길이는 3.9~4.3cm이다. 두부는 조금 작다. 겹눈은 한 쌍이고 검으며 반원형이다. 구기(口器)는 퇴화되고 하순수(下脣鬚)가 가늘고 짧다. 촉각은 한 쌍이고 깃털 모양이며 기부가 굵고 끝부분이 점차 가늘어진 모양이다. 암컷의 촉각은 회색이고 조금 짧으며 수컷의 촉각은 흑색이고 암컷의 것보다 길다. 전흉절(前胸節)과 중흉절(中胸節)은 맞붙어 있다. 날개는 2쌍이고 모두 흰 비늘에 덮여 있다. 앞 날개는 가슴의 중간에 있고 삼각형이며 조금 크고 3개의 어두운 색깔의 가로무늬를 갖고 있다.

뒷날개는 가슴의 뒤에 있고 조금 작으며 약간 둥그스름하고 조금 짙은 색깔을 띤 2줄의 평행선을 갖고 있다. 흉각은 3쌍이다. 부절(
節)은 5마디이고 한 쌍의 흑갈색을 띤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선상모(腺狀毛)가 나 있다. 암컷의 복부는 살지고 끝부분이 무딘 원형이며 수컷의 복부는 좁고 끝부분이 조금 뾰족하다. 유웅이 곧 집누에이다. 유충은 원통형이고 회백색이며 암색의 반점무늬를 갖고 있고 온몸에 황갈색의 짧은 털이 성글게 나 있으며 두부를 제외하고 13개 환절로 구성되어 있다. 유충의 두부는 작고 단단하며 두부에 홑눈촉각, 입술, 악(顎)과 말피기관이 있다. 앞의 3절은 흉부이고 위의 10절은 복부이다. 전흉절은 매우 작고 양측에 타원형의 기문(氣門)이 있다. 중흉절과 후흉절은 팽대하고 외표면에 주름이 있다. 중흉절과 후흉절은 팽대하고 외표면에 주름이 있다. 흉족(胸足)은 3쌍이며 복족(腹足)은 4쌍이고 미족(尾足)은 1쌍이다. 제 8복절의 배면(背面) 중앙에 미각(尾角)이 한 개 있다. 체내에는 견사선(絹絲腺)이 있는데 사질(絲質)을 분비하여 누에 고치를 튼다.

유충은 뽕나무의 어린 잎을 먹고 5령을 거쳐 누에 고치를 튼다. 후에 번데기로 되었다가 밤나방으로 된다. 누에의 발생 회수는 해마다 1회, 2회, 4회 등이 있으므로 일화잠, 이화잠, 사화잠 등의 명칭이 있다. 발생 기기가 다름에 따라 또 봄누에, 여름누에, 가을누에 등의 구별이 있다.

1, 음위증
원잠아(蠶蛾: 말문미:末文尾의 것) 1되를 그늘에서 말려 두(頭), 족(足), 모(毛), 우(羽)를 버린다. 그것을 가루 내어 정제한 벌꿀로 벽오동 열매 크기의 환제를 만들어 자기 전에 한 알을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 유정, 백탁(白濁)
만잠아(晩
蠶蛾)를 불에 쬐어 말려 날개와 사지(四肢)를 제거한다. 그것을 가루내어 밥으로 녹두 크기의 환제로 하여 1회 40알을 연한 소금물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 혈림(血淋), 제복(臍腹)과 음경의 삽통(澁痛)의 치료
만잠아(晩
蠶蛾)를 갈아서 가루내어 식전에 더운 술로 개어서 2돈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4, 도부상(刀斧傷) 등 일체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치료하고 지혈하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처방
만잠아(晩
蠶蛾)를 가루내어 잘 혼합하여 상처에 바르고 비단으로 싸맨다. [승금방(勝金方), 천아산(天散)]

5
, 지혈하고 진통하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처방
만잠아(
蠶蛾), 백지(白芷), 당귀두(當歸頭), 진석회(陳石灰), 각 같은 양으로 부드럽게 가루내어 혼합해서 바른다. [구상비지(救傷秘旨), 잠아산(蠶蛾散)]

6
, 옥침창(玉枕瘡: 침골 위에 옹과 같은 것이 나고 터진 후 그 끝이 젓가락 끝처럼 되는 병)의 치료
석위(石韋), 볶은 원잠아(
蠶蛾)를 같은 양으로 찧어 체로 쳐서 가루내어 환부에 붙인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석위산(石葦散)]

누에 고치


지혈작용, 콜린(choline) 작용, 장풍, 소아 두창후의 여독, 지체 관절상의 감식창, 반위, 먹은 음식물을 자꾸 토하는 데, 구미(糜: 구내염), 혈변(피똥), 혈뇨(피오줌), 혈붕(血崩), 소갈(消渴: 당뇨병), 감창(疳瘡), 부스럼, 자궁출혈, 혈붕,

 

누에 고치는 누에나방과 곤충 집누에나방(Bombyx mori L.)의 유충이 튼 고치이다. 누에나방의 애벌레인 누에는 뽕잎을 먹으며 누에가 뽕잎을 먹고 다 자라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 번데기가되어 버린다. 그 고치에서 명주실 즉 비단으로 불리는 실크를 뽑아낸다.

누에나방의 야생종으로 '멧누에나방(Bombyx mandarina)'이 있다. 5~6월, 9월에 나타나며 사는 곳은 시골 마을 주변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산다. 먹이는 주로 야생 뽕나무의 잎을 먹고 자란다. 몸 길이는 약 30mm이다. 자극을 받으면 부푼 가슴을 더욱 부풀리며, 이 때 눈알 무늬가 나타난다. 회백색 몸 윗면에 회색과 갈색 무늬가 있으며, 둘째와 다섯째 배마디에는 갈색 눈알 무늬가 있다. 먹이식물의 잎을 엮어 고치실을 만드는데, 고치가 누에보다 작으며, 연두색이 돈다.

누에는 누에실을 내보내는 외분비선인 누에실선이 있다. 뽕누에나비를 비롯한 나비류의 어린벌레는 일정하게 자라면 실을 뽑아 고치를 짓고 그속에 들어가 번데기가 되는데 실을 내보내는 외분비선을 누에실선이라고 한다. 누에실선은 아래입술선이 변화된 것인데 가늘고 긴 관모양이다. 누에실선의 크기는 동물에 따라 다르다. 두꺼운 고치를 트는 나비류에서 누에실선이 발달하였다. 누에실선은 앞부분, 가운데 부분, 뒷부분으로 구분된다. 가운데부분에서는 누에실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는 섬유소원이 분비되는데 그것은 뒷부분에서 분비되는 '세리신'과 섞인다. 이 혼합물은 앞부분으로 가서 아래입술앞끝에 있는 실길을 거쳐 밖으로 분비되어 공기와 접촉하면 누에실이 된다. 


누에 번데기


자양강장 당뇨병 콜레스테롤 제거에 효험

 고콜레스테롤 혈증, 심장혈관질병, 만성간염, 자양강장, 고지혈증, 어린이허약체질, 소아감적, 폐결핵에 의해 매우 여위는 증상, 회충 구제, 지방간, 뇌의 혈액순환, 뇌혈관 및 조직에 콜레스테롤과 미네랄의 축적을 막아줌, 물고기 및 닭 그리고 집집승의 단백 먹이용, 광택제로 활용, 비누를 만드는데, 당뇨병, 양기부족.
기원: 멧누에나방의 번데기. 야생 나방을 개량한 것으로 고치의 실을 뽑아 내고 남은 누에나방의 번데기

성미: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이 평이하다.

성분:
말린 번데기의 가식 부분 100g당 에너지 217kcal, 수분 59.4%, 단백질 22.3g, 지질 13.3g, 당질 1.9g, 회분 13g, 칼슘 70mg, 인 232mg, 철분 2.6mg, 비타민 B1 0.08mg 이다.

약효: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 번데기를 먹으면 살이 찌고 얼굴빛이 좋아진다. 특히 소화, 흡수 능력이 떨어져 몸은 삐쩍 마르고 배만 볼록 튀어 나오는 질병을 고쳐준다.

번데기에는 뇌의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해주는 영양분인 레시틴이 많아 뇌혈관 및 조직에 콜레스테롤과 미네랄의 축적을 막아준다. 특히 어린 아이에게 레시틴이 부족하게 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기억력이 감퇴되어 학업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번데기는 주로 볶아서 먹는데, 복용하기 불편하면 탕약에 넣어서 먹어도 된다.

당뇨로 갈증이 있는 경우와 남성의 양기가 부족할 때도 사용한다.

주의 사항:
번데기는 유통되는 과정에서 쉽게 부패하여 자주 식중독을 일으킨다. 여름철 점심에 먹다 남은 것을 저녁 늦게 먹어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참고자료 >

연구를 통해 새로 밝혀진 성특이단백질의 N-말단 부분 단편의 전기영동패턴과 아미노산 배열이다(그림 1).




그리고 새로 밝혀진 성특이단백질의 N-말단 SDPTWQEES 단편의 전기영동 패턴으로서 누에 번데기 분쇄물을 순수하게 정제하여 발기촉진물질로서 밝혀진 N-말단의 SDPTWQEES 아미노산 배열의 단일 전기영동패턴을 나타내고 있다(그림 2).



 누에번데기(잠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
(임상보고)
가잠용유(家蠶
油)의 정제품으로 환제를 만들어(1알에 리론산과 리놀레인산 150mg, 비타민 E 0.5mg을 함유) 내복한다.

1일 3회, 1회 6알을 복용하며 4주를 1치료 기간으로 한다. 고콜레스테롤 혈증(230mg% 이상)의 환자 31례를 관찰한 결과, 치료전의 평균 혈청 콜레스테롤은 274.35=63.11mg%(231~450mg%)이상, 4~12주의 치료 뒤 평균 혈청 콜레스테롤은 50.23mg%였으며 그 중 혈청 콜레스테롤이 230mg% 이하로 내려간 경우도 27례였다. 복용하고 4주가 되자 약 반수 정도 환자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가 내려갔으며 8~12주에는 치료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복용 기간 동안 관상 동맥 질환에 현미경 하에서 혈뇨를 병발한 원인 불명의 환자 1례에서 요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된 경우 외의 다른 큰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31례의 β-지방 단백 검사와 10례의 중성 지방 검사 결과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차이는 없었다. 6례의 지방간과 3례의 당뇨병에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병발한 환자는 복용 후 혈청 콜레스테롤이 저하되었다. GPT 수치가 정상이 아닌(100 단위 이상) 5례 가운데 복용 후 3례가 정상 회복되었다. 본품은 지방간과 당뇨병 환자에 대해 혈청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간장 기능을 개선하는 작용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약대사전]

2, 소아 감적
누에번데기를 볶아 꿀로 개어서 복용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3, 소갈열(消渴熱), 심신번란(心神煩亂)
누에 번데기 1냥에 무회주(無灰酒:
양조한 다음 물을 타지 않고 곧바로 걸러낸 술을 말한다. 순주(淳酒)라고도 한다. [동양의학대사전 제 6권 51면]) 중잔(中盞) 1컵과 물을 큰 컵으로 1컵을 넣고 중잔(中盞) 1컵이 되게 끓여서 누에번데기를 제거하고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4, 회충
누에번데기 2홉의 찧은 즙을 빈속에 복용하거나 번데기를 햇볕에 바래도록 말리고 곱게 가루내어 죽과 함께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잠용즙방(蠶
汁方)]

 

누에 흰가루병 


진경작용, 억균작용, 항암작용, 부신피질자극작용, 당뇨병,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반신을 쓰지 못하는 데, 후두염, 얼굴의 기미와 모든 상처의 흔적, 피부가 가려운 증상을 감소시킴, 대하, 두통, 치통, 안통, 피부소양증, 연주창(連珠瘡), 자궁출혈

누에는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Bombyx mori L.)의 애벌레를 말한다. 누에나방은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누에나방은 몸과 날개가 회백색이다. 때로는 어두운색의 내외횡선(內外橫線)이 있는 개체도 있다. 촉각은 빗살모양이다. 편 날개 39~43mm이다.

백강잠(
)은 누에나방과 곤충 누에 유충이 백강균(殭菌)에 감염되어 강직되어 죽은 것을 말린 전충을 말한다.

백강잠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강잠[蠶: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강잠잠[蠶蠶: 천금방(千金方)], 천충[天蟲: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강충[蟲: 하북약재(河北藥材)], 흰가루병누에 등으로 부른다.

[사육]

백강병균포자(白
殭病菌胞子)를 누에 유충의 피부에 접종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포자를 발아시켜서 누에의 체내에 침입시키면 발병하여 강직되어 죽어서 강잠(蠶)이 된다.

1, 준비작업
접종하기 4~6일 전에 잠실(蠶室)이나 잠구(蠶具)를 2% 포르말린으로 소독하는데 온도를 24℃ 이상으로 하고 1㎡당 포르말린을 15ml 분무하여 24시간 밀봉한다. 또 0.2% 세레산이나 0.5~1%의 석회유(石灰乳) 혼합제를 1㎡
당 25ml를 분무한다.

2, 접종(接種)

누에 유충의 큰잠(4번잠) 후, 다섯 번 자고 난 누에가 아침을 먹기 전에 강잠세액(
洗液) 또는 인공 재배한 백강균을 충분히 섞은 현탁액(찰 때에는 온수를 사용하는데, 그 온도는 32℃를 넘지 말아야 하고 날씨가 더울 때에는 찬물을 쓴다)을 만들어, 단관식(單管式) 분무기로 누에에 분사하여 습기를 알 수 있을 정도로 한다. 균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가는 강잠()을 생산할 때의 한 포인트가 되므로 균의 종류나 수량은 기후 조건과 사육하는 품종에 따라 정해야 한다. 중국의 광동성(廣東省) 증성(增城)지역에서는 1㎣의 균액(菌液) 당 약 8~10만 개의 포자가 함유되어 있으며 강소성(江蘇省) 무석(無錫)지구에서는 일반적으로 1㎣의 균액에 5~6만개의 포자(胞子)를 함유하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3, 관리

접종 시에 사육실은 습도와 온도를 보존하고 건조의 교차는 0~1℃를 기준으로 하며 실내 온도는 25℃ 정도가 좋다. 접종 후 15~20분이 되면 첫 뽕잎을 주며 그 후 5~6시간 마다 1회씩 양질의 뽕을 충분히 먹인다. 온도와 습도는 누에의 생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습도와 온도를 잘 조절하고 죽은 누에는 제때에 집어 내어 다른 방에 옮겨 잘 굳어지게 한다.

[채집]

죽은 누에를 모은다. 석회 속에 넣고 잘 섞어서 수분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약재]

원기둥 모양이며 대부분 만곡되고 주름이 져서 쪼그라들어 있다. 길이는 2~5cm, 지름은 4~7mm이다. 표면은 회백색이거나 담갈색이고 대부분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머리, 발 및 각 마디는 모두 분명하여 식별 할 수가 있다. 체외에는 흔히 실이 휘감겨져 있다. 두부는 황갈색이며 대체로 원형이다. 발은 8쌍이고 돌기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취약하여 부러지기 쉽다. 단면은 평탄하고 갈색, 흑색 등 여러 가지이고 대부분 윤기가 돌며 외층은 백색의 가루 성질이고 안에는 갈색의 밝은 고이가 4개 있다. 약간 부패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곧고 굵으며 탄탄해 보이고 질이 단단하며 백색이고 단면이 반들거리는 것이 상품이다.

이밖에 백강균을 번데기에 접종하여 발병시킨 강용(
)도 백강잠 대신으로 약용한다.

[성분]

백강잠의 몸 표면의 흰 가루에는 ammonium oxalate가 함유되어 있다. 백강균을 배양하면 대량의 oxalic acid, pyridin-2.6-dicabonis acid, carbonic acid, 대량의 지방을 생성한다. 지방 중의 지방산의 조성은 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소량의 stearic acid, palmitoleic acid 및 α-linoenic acid이다. 백강균은 3 종류의 가수분해효소, 즉 lipase, protease, chitinase를 분비하여 유충의 표피를 통해서 감염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glutamic acid, asparagic acid, ammonium oxalate, ammonium citrate, ammonium tartarate 등을 질소원으로 하여 이용하는데, 무기질소 화합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는 없다. 백강균은 또 백강균 황색소(bassianins)를 함유하여 배양 중인 질소원이 고갈되었을 때에는 이 색소를 신속하게 축적한다. 또한 fibrino olysin 용해효소(plasmin)를 만들 수 있다 백강균은 누에의 유충에 감염하는 외에 옥미명(玉米螟: Pyrausta nubialis), 납아(蠟蛾: Galleria mellonella)의 유충에도 침입한다. 또 이 중에서는 고분자의 곤충독소와 고리 모양 peptide인 곤충독물질인 백강균소(白
菌素: beauverician)가 분리 추출된다. 백강균은 또 steroid의 11α-수산화효소계를 함유하여 corticoids의 합성에 사용한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알코올의 물 추출액은 마우스의 토끼에 대하여 최면작용이 있다. 마우스에게 0.5g/20g을 경구 투여하거나 0.25g/20g을 피하 주사하면 거의 phenobarbital 50mg/kg을 피하 주사했을 때의 최면 효과에 상당한다. 시판하는 백강잠, 선태(蟬
蛻: 매미허물) 등을 배합한 제제[즉 오호추풍산(五虎追風散)의 탕제]는 pentetrazol, strychnine, cocaine, nicotine 등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의한 사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인공 백강잠 탕제에도 strychnine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길항하는 작용이 있으며 그 유효 성분은 옥살산 암모늄이며 주로 암모늄이온의 작용에 의한다. 강용()에도 상술한 작용이 있는데, 그 작용은 백강잠보다 약간 우수하다. 그 외에 강용()은 마우스의 sarcoma 180을 억제할 수가 있다(그러나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황색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있으나 효과는 뚜렷하지 않다. 강용()은 얻기 쉬우므로 그것을 백강잠의 대용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중약대사전]

[법제]

백강잠(
): 사모(絲毛)를 제거하고 회토(灰土)를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초강잠(炒
): 뜨거운 냄비에 밀기울을 산포하고 연기가 나기 시작하면 강잠()을 넣어서 누렇게 될 때까지 초(초)한 다음 꺼내어 체로 쳐서 밀기울을 제거한다. 서늘한 곳에 둔다[강잠() 100근에 밀기울 10근을 쓴다).

1, <뇌공포구론>: "백강잠을 먼저 찹쌀 뜨물에 하룻동안 담가, 잠상(
桑)이 달팽이의 침처럼 흘러 나와서 물 위에 뜨기를 기다렸다가 걸러내어 약한 불에 배건(焙乾)하고 헝겊으로 누에의 황육모(黃肉毛)와 검은 구갑(口甲)을 닦아서 깨끗이 한 다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내어 쓴다."



누에는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
(Bombyx mori L.)의 애벌레를 말한다. 누에나방은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누에나방은 몸과 날개가 회백색이다. 때로는 어두운색의 내외횡선(內外橫線)이 있는 개체도 있다. 촉각은 빗살모양이다. 편 날개 39~43mm이다.

백강잠(
)은 누에나방과 곤충 누에 유충이 백강균(殭菌)에 감염되어 강직되어 죽은 것을 말린 전충을 말한다.

백강잠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강잠[蠶: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강잠잠[蠶蠶: 천금방(千金方)], 천충[天蟲: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강충[蟲: 하북약재(河北藥材)], 흰가루병누에 등으로 부른다.

[사육]


백강병균포자(白
殭病菌胞子)를 누에 유충의 피부에 접종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포자를 발아시켜서 누에의 체내에 침입시키면 발병하여 강직되어 죽어서 강잠(蠶)이 된다.

1, 준비작업
접종하기 4~6일 전에 잠실(蠶室)이나 잠구(蠶具)를 2% 포르말린으로 소독하는데 온도를 24℃ 이상으로 하고 1㎡당 포르말린을 15ml 분무하여 24시간 밀봉한다. 또 0.2% 세레산이나 0.5~1%의 석회유(石灰乳) 혼합제를 1㎡
당 25ml를 분무한다.

2, 접종(接種)

누에 유충의 큰잠(4번잠) 후, 다섯 번 자고 난 누에가 아침을 먹기 전에 강잠세액(
洗液) 또는 인공 재배한 백강균을 충분히 섞은 현탁액(찰 때에는 온수를 사용하는데, 그 온도는 32℃를 넘지 말아야 하고 날씨가 더울 때에는 찬물을 쓴다)을 만들어, 단관식(單管式) 분무기로 누에에 분사하여 습기를 알 수 있을 정도로 한다. 균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가는 강잠()을 생산할 때의 한 포인트가 되므로 균의 종류나 수량은 기후 조건과 사육하는 품종에 따라 정해야 한다. 중국의 광동성(廣東省) 증성(增城)지역에서는 1㎣의 균액(菌液) 당 약 8~10만 개의 포자가 함유되어 있으며 강소성(江蘇省) 무석(無錫)지구에서는 일반적으로 1㎣의 균액에 5~6만개의 포자(胞子)를 함유하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3, 관리

접종 시에 사육실은 습도와 온도를 보존하고 건조의 교차는 0~1℃를 기준으로 하며 실내 온도는 25℃ 정도가 좋다. 접종 후 15~20분이 되면 첫 뽕잎을 주며 그 후 5~6시간 마다 1회씩 양질의 뽕을 충분히 먹인다. 온도와 습도는 누에의 생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습도와 온도를 잘 조절하고 죽은 누에는 제때에 집어 내어 다른 방에 옮겨 잘 굳어지게 한다.

[채집]


죽은 누에를 모은다. 석회 속에 넣고 잘 섞어서 수분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약재]


원기둥 모양이며 대부분 만곡되고 주름이 져서 쪼그라들어 있다. 길이는 2~5cm, 지름은 4~7mm이다. 표면은 회백색이거나 담갈색이고 대부분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머리, 발 및 각 마디는 모두 분명하여 식별 할 수가 있다. 체외에는 흔히 실이 휘감겨져 있다. 두부는 황갈색이며 대체로 원형이다. 발은 8쌍이고 돌기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취약하여 부러지기 쉽다. 단면은 평탄하고 갈색, 흑색 등 여러 가지이고 대부분 윤기가 돌며 외층은 백색의 가루 성질이고 안에는 갈색의 밝은 고이가 4개 있다. 약간 부패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곧고 굵으며 탄탄해 보이고 질이 단단하며 백색이고 단면이 반들거리는 것이 상품이다.

이밖에 백강균을 번데기에 접종하여 발병시킨 강용(
)도 백강잠 대신으로 약용한다.

[성분]


백강잠의 몸 표면의 흰 가루에는 ammonium oxalate가 함유되어 있다. 백강균을 배양하면 대량의 oxalic acid, pyridin-2.6-dicabonis acid, carbonic acid, 대량의 지방을 생성한다. 지방 중의 지방산의 조성은 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소량의 stearic acid, palmitoleic acid 및 α-linoenic acid이다. 백강균은 3 종류의 가수분해효소, 즉 lipase, protease, chitinase를 분비하여 유충의 표피를 통해서 감염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glutamic acid, asparagic acid, ammonium oxalate, ammonium citrate, ammonium tartarate 등을 질소원으로 하여 이용하는데, 무기질소 화합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는 없다. 백강균은 또 백강균 황색소(bassianins)를 함유하여 배양 중인 질소원이 고갈되었을 때에는 이 색소를 신속하게 축적한다. 또한 fibrino olysin 용해효소(plasmin)를 만들 수 있다 백강균은 누에의 유충에 감염하는 외에 옥미명(玉米螟: Pyrausta nubialis), 납아(蠟蛾: Galleria mellonella)의 유충에도 침입한다. 또 이 중에서는 고분자의 곤충독소와 고리 모양 peptide인 곤충독물질인 백강균소(白
菌素: beauverician)가 분리 추출된다. 백강균은 또 steroid의 11α-수산화효소계를 함유하여 corticoids의 합성에 사용한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알코올의 물 추출액은 마우스의 토끼에 대하여 최면작용이 있다. 마우스에게 0.5g/20g을 경구 투여하거나 0.25g/20g을 피하 주사하면 거의 phenobarbital 50mg/kg을 피하 주사했을 때의 최면 효과에 상당한다. 시판하는 백강잠, 선태(蟬
蛻: 매미허물) 등을 배합한 제제[즉 오호추풍산(五虎追風散)의 탕제]는 pentetrazol, strychnine, cocaine, nicotine 등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의한 사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인공 백강잠 탕제에도 strychnine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길항하는 작용이 있으며 그 유효 성분은 옥살산 암모늄이며 주로 암모늄이온의 작용에 의한다. 강용()에도 상술한 작용이 있는데, 그 작용은 백강잠보다 약간 우수하다. 그 외에 강용()은 마우스의 sarcoma 180을 억제할 수가 있다(그러나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황색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있으나 효과는 뚜렷하지 않다. 강용()은 얻기 쉬우므로 그것을 백강잠의 대용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중약대사전]

[법제]


백강잠(
): 사모(絲毛)를 제거하고 회토(灰土)를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초강잠(炒
): 뜨거운 냄비에 밀기울을 산포하고 연기가 나기 시작하면 강잠()을 넣어서 누렇게 될 때까지 초(초)한 다음 꺼내어 체로 쳐서 밀기울을 제거한다. 서늘한 곳에 둔다[강잠() 100근에 밀기울 10근을 쓴다).

1, <뇌공포구론>: "백강잠을 먼저 찹쌀 뜨물에 하룻동안 담가, 잠상(
桑)이 달팽이의 침처럼 흘러 나와서 물 위에 뜨기를 기다렸다가 걸러내어 약한 불에 배건(焙乾)하고 헝겊으로 누에의 황육모(黃肉毛)와 검은 구갑(口甲)을 닦아서 깨끗이 한 다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내어 쓴다."

2, <일화자제가본초>: "약으로 쓰려면 면사(綿絲)와 자(子)를 모두 제거하고 고루 초(炒)하여 사용한다."

[성미]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약성론>: "약간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귀경]


간(肝), 폐(肺),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1, <본초강목>: "궐음(厥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심(心), 간(肝), 비(脾),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담(痰)을 삭이고 울결을 푸는 효능이 있다. 중풍실음(中風失音: 중풍으로 인한 언어 장애), 경간(驚癎), 두풍(頭風), 후풍(喉風), 후비(喉痺), 나력(
瘰癧), 결핵, 풍창은진(風瘡癮疹), 단독, 유선염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소아의 경간(驚癎)이나 밤에 우는 병을 치료하고 삼충(三蟲)을 제거하며 흑간(黑img1.jpg: 검은 기미)을 없애고 남자 음부의 양병(瘍病: 종기)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여자의 붕중적백(崩中赤白: 자궁 출혈이나 백대), 산후 여통(餘痛)을 치료한다. 각종 창반흔(
瘡瘢痕)을 제거한다. 가루내어 정종(疔腫)을 봉(봉)하면 뿌리가 저절로 빠져 나온다."

3, <약성론>: "구금(
口噤: 언어장애)을 치료하고 발한(發汗)하게 하며 부인의 붕중(崩中) 하혈이 멎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중풍으로 인한 언어 장애 및 모든 풍질(風疾), 소아의 객오(客
), 남자 음부의 양통(양통), 여자의 대하를 치료한다."

5, <본초도경>: "중풍, 급성 인후 마비의 치료에는 짓찧어 체로 쳐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생강의 자연즙을 조합하여 주입한다."

6, <의학계몽>: "피부 간의 각종 풍(風)을 제거한다."

7, <본초강목>: "풍담결핵(風痰結核), 나력, 두풍, 풍치통, 피부 풍창(風瘡), 단독으로 인한 가려움, 담학징결(痰
瘧癥結), 부인이 젖이 나지 않는 경우, 붕중하혈(崩中下血), 소아 감식인체(疳蝕鱗體), 모든 금창, 정종풍치(疔腫風痔) 등을 치료한다."

8, <본초정>: "소아 감식(疳蝕), 치은 궤란, 혀의 부종, 혀의 마비를 치료한다."

9, <옥추약해>: "경락을 잘 통하게 하고 풍(風)을 구축하며 비(痺)를 제거하고 두통, 흉통, 언어 장애, 치통, 은진풍소(
癮疹風瘙)를 치료한다. 태워 갈아서 술로 복용하면 궤옹파정(潰癰破頂)을 치료하고 또 혈림붕중(血淋崩中)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5~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순도: 건조감량 10% 아래, 산불용성회분 1.0아래

약리작용:
진경작용: 흰가루병누에(또는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10% 우린액 2g/kg을 흰생쥐에게 관위법으로 주었을 때 초산스트리키닌으로 일으킨 경련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흰가루병누에와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및 싱아산나트륨은 흰생쥐에 대하여 스티리크닌에 길항하는 작용을 나타냈으며 코페인으로 일으킨 강직성경련에 길항작용을 나타냈으며 바르비탈나트륨과의 협력작용을 나타냈다.

부신피질자극작용:
흰가루병누에단백질을 부신피질을 자극하는 작용을 나타냈다.

억균작용: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는 황금색포도알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한 억균작용을 한다.

항암작용: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50% 우린액 2g(0.2ml)/마리씩을 흰생쥐에게 관위법으로 매일 주었을 때 사르코마-180에 대하여 억제율이 71.4%(p>0.05)였으며 30% 우린액을 0.18ml/마리씩 매일 피하주사하였을 때에도 p>0.05로서 뚜렷한 효과를 나타냈다.

독성: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우린액을 흰생쥐에게 매일 2g/kg씩 20일 동안 관위법으로 주었을 때 죽거나 쇠약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장, 콩팥, 간에 대한 병리해부검사에서도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우린액의 독성은 관위법일 때 LD50 44.5±1.4g/kg였다. 흰가루병누에에타놀우린액은 흰쥐, 흰생쥐에게 배안주사할 대 0.5~5g/kg에서 아무런 독성반응도 없었다.

응용:
흰가루병누에는 진정약, 진경약으로서 후두염, 얼굴신경통, 머리아픔, 이쏘기, 눈아픔에 쓰며 외용으로서 습진, 가려움증, 헌데 등에도 쓴다. 3~9g 또는 6~12g을 쓴다.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는 열내림, 가래삭임, 진정 및 진경, 항염증, 신경조절과 지방대사개선목적으로 쓰며 간질, 고열경련, 유행성이하선염, 숨길막염, 만성기관지염, 유뇨증, 두드러기,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에 쓰인다. 한알이 0.3g되게 알약을 만들어 하루에 20~30알씩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처방:
① 견정산: 흰가루병누에, 흰 바꽃덩이뿌리, 전갈 각각 5.0g을 가루내어 섞는다. 얼굴신경마비때에 하루에 2~3번 한번에 1~2g씩을 더운물로 먹는다.

② 청상백강잠환:
흰가루병누에, 궁궁이(천궁), 단국화꽃, 노랑돌쩌귀뿌리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알이 0.2g되게 만든다. 가슴과 명치끝이 그득하고 메스꺼우며 머리가 무겁고 아픈데 하루 3번, 한번에 3~4g 먹는다.

③ 오약순기산:
마황, 귤껍질, 오약나무 각각 2.0g을 물에 넣고 달여 만든다. 얼굴신경마비, 뇌수연화증, 뼈마디관절염, 뇌출혈후유증초기에 하루에 2첩을 쓰되 재탕까지 하여 3번 먹는다.]


누에 똥


세포부활작용, 장기 기능의 증진 작용, 조직 기능의 정상화 작용, 조혈작용, 세포 활력 부여를 기본으로 한 살균작용, 동맥 경화에 혈압 강하 작용, 간장 기능 강화 작용, 강심 작용, 말초 혈관 확장 작용, 수술 후 처치 및 상처 치유 촉진 작용, 육아(상처에서 돋아나는 새살) 형성 작용, 엽록소 유도체가 암 세포를 파괴하는 작용, 이뇨 작용, 알코올 대사를 촉진, 간장의 지방 축적을 방지, 뇌혈관을 강화, 혈행을 좋게 하여 멍함을 예방, 암 발생 억제와 예방, 궤양 치료, 신진 대사 촉진 기능, 빈혈개선, 위장질환, 각종 종양과 염증 개선, 혈액순환, 풍을 제거, 진경, 진정, 진통, 피부가려움증, 안검염, 통증을 감소, 류마티스, 신경통, 월경이 없을 때, 아토피 피부염, 요통,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당뇨병, 두드러기, 결막염, 자궁출혈

 

[채집]

6~8월, 잠든 누에의 똥을 주로 수집하여 2~3회 볕에 말린 후 흙을 체로 쳐 버리고 가벼운 알갱이나 뽕나무 잎 부스러기를 버린다.
[약재]

마린 누에똥은 짧은 원기둥 모양의 작은 알로서 길이는 2~5mm, 지름이 1.5~3mm이다. 표면은 회흑색(灰黑色)이고 거칠며 6개의 뚜렷한 세로 모서리와 3~4개의 얕은 가로 무늬를 갖고 있다. 끝은 조금 평탄하고 육각기둥 모양이다. 단단하고 취약하며 습기를 받으면 쉽게 부서진다. 약간 푸른 풀의 냄새가 있다. 건조하고 색깔이 검고 단단하며 균일하고 불순물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성분]

누에똥은 유기물 83.77%~90.44%, 회분 9.56%~16.23%를 함유하고 총 질소량은 1.91~3.60%이다. 또한 엽록소를 함유하고 에탄올이나 아세톤으로 추출된다. 보고에 의하면 제3, 제4, 제5령의 누에똥으로부터 조엽록소(粗葉綠素)를 각기 1.6, 2.2, 2.4% 추출하였는데 그 중 진정한 엽록소는 적은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제 5령의 누에똥의 조엽록소는 13.19%의 순엽록소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염화성 물질 48.92%, 불염화성 물질 44.45%이다. 누에똥은 phytol 0.25~0.29% 함유한다. 또한 불염화 성분의 β-sistol(대략 1.5%), cholesterol, ergosterol과 tetracosanol, lupeol을 함유하고 있다. 누에똥으로부터 β-sistol-β-glucoside가 분리되었다. 누에똥에 들어있는 유리 아미노산으로 leucine, histidine 등 13종이 추출되었다. 누에가 생장함에 따라 똥 오줌 중의 leucine과 histidine 함량도 증가된다. 누에똥은 대량의 carotene을 함유하고 있다. 상술한 조엽록소 1g에 함유된 비타민 A는 3644 IU이다.

또한
누에똥은 다량의 비타민 B를 함유하고 있다. 누에똥은 구리를 함유하고 있는데 그 함유율은 제 5령에 이르러 최고치에 달한다. 구리는 밤 잎에서 얻은 것이고 신선한 뽕잎은 1g당 1.02~2.22㎍의 구리를 함유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 잠뇨인 누에 소변의 성분 및 효능


성분: 가바(gaba), 비타민 E, 단백질(protein), 글루코시 디아제.

효능: 혈당 억제와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 노화방지와 동맥경화 방지, 약물대사와 지용성 물질의 대사.
천연 토코페롤과 약물대사효소(cytochrome p-450)가 혈관 내의 지용성 물질을 수용성 물질로 바꾼다.

○ 잠분인 누에 똥의 성분


성분: 가바(gaba), 천연 비타민 E, 루틴(rutin),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티로신(tirocin), 세린,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알라닌(alanin), 모라신(moracin), 글루코시다아제(알파-glucosidase inhibitor), chlorophyll a, b, mulberrofuran F. G, guanon, moracin, demoracin. [
생명과 엽록소]

[약리작용]

○ 누에똥의 진통효과 측정(표-1)

구분

용량(mg/kg)

라이팅횟수

저해율(%)

대조군

-

21.8±4.52

-

누에똥 투여군

500

11.8±3.46

45.88

1000

9.8±2.75

55.05

상기 표-1로부터 대조군의 라이팅 횟수는 21.8회 이었으나 누에똥 500mg/kg 투여시 11.8회, 1g/kg 투여시 9.8회로 줄어들어 각각 45.9와 55.1%의 억제율을 보임으로서 누에똥 투여에 의해 통증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누에똥의 항경련효과 측정(표-2)

구분

용량(mg/kg)

최초경련발현시간(분)

사망률(%)

대조군

-

2.59±1.08

85.7

누에똥 투여군

500

2.75±0.58

42.8

1000

5.248±1.42

28.6

비가바트린 투여군

10

15.35±2.88

0

상기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펜틸렌테트라졸로 실험동물에 경련을 유발시켰을 때, 대조군의 경련발현시간은 2.59분이었으나 누에똥 500mg/kg 투여시에는 2.75분으로 0.16분이 지연되었으며 1g/kg 투여시에는 5.24분으로 2배 이상 지연되어 누에똥의 항경련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약물이 단일성분인데 비하여 누에똥은 많은 함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누에똥의 항경련 효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시판 진정제가 주사로 사용되며 단일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있는 반면, 다수의 성분으로 구성된 누에똥은 간단한 복용으로 부작용없이 경련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비만 유발 쥐에 대한 체중감소 효과 측정(표-3)

1일

3일

6일

10일

17일

대조군

33.42±0.18

31.11±0.28

33.45±0.22

35.27±0.30

36.53±0.38

누에똥 투여군

33.11±0.12

29.91±0.24

31.93±0.23

31.08±0.26

31.07±0.44

상기 표-3으로부터,10일까지는 비만을 유발시킨 모든 실험군이 3일째 일시적으로 체중감소가 있었으나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7일간 약재를 투여하면 대조군은 체중이 3.6% 증가한 반면, 누에똥 투여군은 체중이 증가하지 않아 누에똥 투여로 체중증가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 비만 유발 쥐에 대한 고지혈증 억제 효과(표-4)

구분

총콜레스테롤(mg/dl)

중성지방(mg/dl)

HDL 콜레스테롤(mg/dl)

정상군

124.3±3.8

94.8±2.5

108.2±4.2

대조군

245.8±5.4

115.6±3.2

88.9±3.2

누에똥 투여군

212.2±8.5

84.5±4.8

93.2±3.6

고지혈증 억제 효과 측정 결과,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누에똥 1g/kg을 경구 투여한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13.7%, 중성지방은 26.9%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은 4.8% 증가하였다. 즉, 누에똥은 특히 중성지방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혈청에는 정상군의 혈청보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여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체중 감소를 유도하면서 혈중 고지혈증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생명과 엽록소]

출처==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출처 : 백년 건강
글쓴이 : 협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