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봉독 [벌침]

늘피네 2014. 7. 23. 07:10

 벌침 과 질병


신상선피질호르몬촉진작용,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혈청에 미치는 영향,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소화기계통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억균작용, 마비작용, 저항력을 높이는 작용, 막투과성 작용, 기관지천식, 갑상선종, 고혈압, 관절염, 좌골신경통, 풍습과 농종에 효험


봉독은 꿀벌의 독선에서 분비하는 분비물이다. 봉독을 채취하는 방법은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채취한다.

1, 기계적방법: 핀세트에 얇은 고무판을 끼우고 꿀벌의 가슴부분을 집는다. 

 이때 꿀벌이 독침을 내보내어 독액을 방울방울 분리하므로 모세피페트, 솜, 여지에 받거나 재물유리, 덮개유리, 시계접시에 받는다.

 피페트에 받은 독을 그대로 쓰거나 말려 쓴다. 

 또한 독선을 분리하여 우리는 방법도 있다. 

이런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순수한 독을 뽑을 때에만 쓴다.

2, 화학적방법: 꿀벌을 유리관에 넣고 에테르로 마취시켜 독액을 분비하게 한 다음 물로 씻고 씻은액을 거른다. 거른액을 투석하여 말린다. 

 이 방법으로 말린 독 50~75mg/1,000마리를 얻을 수 있으나 조직 혼합물이 들어 있다.

3, 물리적방법: 꿀벌보다 약간 굵은 관에 꿀벌이 들어가게 하고 관끝에 유리암풀을 댄다. 

손전지를 켜서 꿀벌이 밝은곳으로 나올 때 전극에 의하여 독액을 분비하도록 한다. 

 또한 유리판 위에 2~3mm 정도의 사이를 두고 0.05mm 두께로 얇은 고무막을 씌우고 그위에 2~3cm 간격으로 직경 1mm 정도의 구리줄을 늘인다. 

 이 장치를 벌통안에 넣고 벌들이 모아들면 3~6V의 전류를 3~5초 간격으로 통과시키면 감전된 꿀벌들이 독액을 분비한다. 

 유리판에 붙은 독액을 말리고 칼로 긁어낸 다음 유리판을 산성(pH 4.5~5.5)용액으로 씻는다. 이 용액을 냉동하여 건조시킨다.

 이 방법은 수백마리의 꿀벌에서 독액을 뽑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꿀벌을 죽이지 않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꿀벌독은 보통 한 마리당 평균 0.2~0.8mg 얻을 수 있다.

가공은 독액 또는 말린 가루색이 누런색을 띠면 활성탄으로 탈색한다.

봉독인 벌침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봉독(蜂毒: 길림중초약)

[이명]
밀봉독소(蜜蜂毒素: 약재학)

[기원]
꿀벌과 곤충 중화밀봉(Apis cerana Fabricius)등의 벌꽁무늬 부위에서 독침선내(毒針腺內)의 유독액체이다.

[성분]
봉독은 대호봉(Vespa mandarina Sm.)의 독성이 제일 강하고 꿀벌이 그 다음이다. 

 봉독의 독성은 phosphatidase A. 탈수소 효소 억제 인자와 polypeptide이다. 

 그 중에는 formic acid 등 산 종류도 있으나 독성의 중심 부분은 아니다. 

 봉독에는 1.0~1.5%의 histamine도 있다.

[약리]
1, 부신피질 호르몬성 작용:
rat는 벌(이탈리아종)에게 쏘인 후 부신의 비타민 C와 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두 내려갔다. 

양자의 감소율은 평행 관계이지만 비타민 C의 감소가 더 뚜렷하였고 이 작용은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을 주사한 것과 비슷하였다. 

 한 마리 벌에 쏘여 들어간 양의 작용이 4단위의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작용과 비슷하였다. 

임상에서 봉독은 풍습성 관절염, 담마진, 기관지 천식 등에 쓴다.

 rat의 formalin성 관절염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 

이것은 봉독의 유효 성분이 뇌하수체에서 부신 계통을 통과하여 나타난 치료 작용이라 본다.

2, 중추 신경 계통에 대한 작용:
봉독 2.5mg/kg을 마우스에 투여하면 hexobarbital, chloral hydrate, urethane의 최면 작용을 연장시키고 strychnine, nicotine이 일으킨 경궐을 방지하지만 pentetrazole로 생긴 경련에는 대항하지 못한다.

3, 순환 계통에 대한 작용:
봉독 0.1~0.2mg/kg을 고양이나 개의 정맥에 주사하면 혈압이 내려가고 심박이 빨라진다. 

이 독소는 말초의 M-choline 수용체와 중추의 N-choline 수용체에서 choline 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acetylcholine, carbachol이 미주 신경을 자극해 일으킨,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방지하지만 sophorine, adrenaline이 교감신경을 자극해 생기는 혈압변화에는 영향이 없다. 

봉독 중의 자극 부분을 제거하고 in vivo의 토끼 귀에 관류하면 혈관이 약간 확장되고 유출된 체액은 개구리의 적출 심장을 억제한다. 

 그러나 토끼의 in vivo 심장에 주사하면 큰 영향이 없다. 

 atropine으로 처리한 후에 토끼에 대해서는 혈압을 올리는 작용이 있으며 집토끼 혈구를 용해한다.

4, 소화기 계통에 대한 작용:
봉독 제제 "Melissin"은 소화액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지만 식물에 의한 위액분비를 감소시키고 활동을 약화시키며 이 작용은 주로 신경 기전으로서 위분비 기능이 항진된 병자에 쓸 수 있다. 

봉독은 rat의 장관의 장력을 증가시키는데 papaverin, 경련치료약, spasmolysin이 그것을 길항할 수 있으나 atropine은 길항하지 못한다.

5, 기타 작용:
봉독은 진통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각종 신경통에 쓴다.

항균작용: 1:500의 봉독 수용액은 세균 생장을 억제한다. 그리고 신체 방어 기능을 높이므로 병후의 신체 회복을 촉진한다. 

 아급성 홍반 낭창에 썼다.

 forgenin과 apicur는 개구리의 운동 신경 말초와 집토끼 각막에 대한 마비 작용이 있다.

6, 봉독의 독성 작용:
① 국소 반응: 벌에 사람이 쏘이면 동통, 발포, 작열감, 부종 등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만 봉독을 피부에 바르면 작용이 없다. 

 그러나 점막에 바르면 현저한 반응이 나타난다. 

봉독이 위장도(胃腸道)에 들어가면 바로 효소에 분해되므로 독성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경구 투여는 적당하지 않다.

② 전신 작용: 봉독의 양과 신체의 민감성 관계된다. 

봉독은 뱀독과 같이 혈관 내피를 손상시켜 대다수 내장의 출혈을 일으킨다. 

(봉독으로 인해 죽은 마우스의 해부에서) 1:300,000은 용혈 작용이 있고 모세혈관, 소동맥과 소정맥의 확장을 일으키며 특히 내장 혈관의 이완을 초래한다. 

 그 외에 혈관운동 중추를 억제하여 혈압이 내려간다. 

봉독의 신경 계통에 대한 해독은 동물의 간헐성 경련과 강직성 경련이나 결국 마비되어 호흡 정지로 사망한다. 

 봉독의 절반 치사량(LD50)은 mouse는 피하 주사시 18.3±0.41mg/kg이고 rat는 피하 주사시 31.5±6.7mg/kg, 복강 주사시 7.5±0.34mg/kg이다.

③ 임상 사용시에 국소 피부가 가렵고 머리가 어지럽고 메스꺼우며 전신이 무력해지고 맥박이 빨라지며 체온이 높아지고 자주 기면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여자, 소아와 노인은 봉독에 대해 민감하다. 보통 사람은 200~300마리에 쏘여야 독성 증상이 나타나며 500마리에 쏘이면 죽는다.

그러나 봉독에 너무 민감한 사람은 한 마리에 쏘여도 바로 전신 반응이 나타난다. 

 양봉하는 사람들은 혈액 속에 독에 견디는 물질이 생기기 때문에 많은 벌에 쏘여도 반응이 없다.

④ 어떤 사람은 봉독이 formalin과 같이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심장, 호흡, 혈압, 체외 내장, 자궁, 피부 혈관의 반응에서도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고 한다. 

 500개의 봉소낭(蜂素囊)을 5ml 증류수로 얻은 추출물 중에 유리된 formalin 함량은 1.25022g/100ml이다. 벌독과 formalin은 모두 혈구를 파괴하며 초이충(草履蟲) 세포를 용해시킨다. 

 만약 봉독 중의 유리산을 중화시키면 위의 여러 가지 작용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봉독의 화학적 생물학 반응으로 보면 그 작용은 formalin과 formalin과 관계된다.

[약효과 주치]
1, <약재학>: "기관지 천식, 갑상선종, 고혈압병, 풍습과 농종에 효과가 있다."

2, <길림중초약>: "풍습을 예방한다. 풍습성 관절염을 치료한다."

[배합과 금기]
결핵병, 당뇨병, 선천성 심장병, 동맥경화, 성병에는 못 쓴다. 아동과 노인은 봉독에 극히 민감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임상보고]
벌의 독으로 병을 치료하는 것은 민간 요법이다. 

 원시 요법은 벌을 잡아 쏘게 한다. 

 약 3~5분 동안 쏘여서 독액이 다 나오면 벌을 떼어 버린다. 

이 방법은 복잡하고 국소에 자극성 동통이 심하기 때문에 먼저 procaine으로 국소 침윤 마취를 해야 한다. 근래의 방법은 먼저 만들어 놓은 봉독의 수제나 유제를 피하에 주사한다. 

피하 주사는 200봉독을 1치료 기간으로 하고 처음에는 1개 봉독(약 0.1ml)을 주사하여 부작용이 없으면 하루 건너 1개 봉독씩 점차 높인다. 

 10개 봉독까지 높인다. 그런 후 병자의 상태에 따라서 유지량을 쓴다. 

 1회에 3~6봉독을 하루 건너 한 번씩 총사용량이 200봉독이 될 때까지 한다. 

 시간이 모두 3개월 가량 걸린다. 주사 부위는 양 상비(上臂)이나 대퇴 배면(背面) 피부에 바꿔서 주사 혹은 다른 병의 부위에서 동통점 주위에 주사하거나 혈위 원칙에 따라 혈위에 주사한다.

풍습성 관절염, 類풍습성관절염, 기관지 천식, 결절성 홍반, 풍습열, 풍습성 심장병, 담마진, 혈관신경성 수종, 과민성 비염, 통풍, Meniere's 중후군, 좌골신경통, 갑상선 항진증, 신경관능증, 요저신경근염, 홍체 모양체염, 감각신경 실조, 

 원인불명 관절통 등 100례를 치료한 결과 정도는 다르지만 효과가 있었다. 

풍습성 관절염 94례에 뚜렷하게 진보한 것이 23례, 類풍습성관절염 29례에서는 6례, 기관지 천식 13례에서는 6례였다.

부작용: 주사 후 몇 분 혹은 몇 십분 후에 전신에 두드러기가 생긴다. 

혹은 어지럽고 메스꺼우며 맥박이 빨라지고 체온이 올라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안정하면 몇 10분 혹은 몇 시간 후에는 거의 회복되며 국소 반응으로는 벌겋게 붓고 간지러우며 동통이 생기고 붉게 부은 부위의 지름은 1~10cm 이내는 처리할 필요가 없고 1~2일이면 저절로 소실된다. 

 10cm가 넘으면 봉독 치료를 다시 하지 말아야 한다.

[비고]
<봉밀화봉독적의성능>: "봉독 치료 전에 먼저 피부를 더운 물과 비누로 씻되 알코올로는 씻지 말아야 한다. 

 벌이 쏜 후 그 침은 피부에 남아 있어 계속 수축하여 독낭 분비가 끝날 때까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독액 전부가 상처에 주입된 후 자침(刺針)을 빼야 한다. 

 편자기(편刺器)의 수축과 수축 정지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자침을 빼낸 후 피부에 자극이 없는 고약을 바른다. 

 봉독을 쓰는 데는 아래 시간에 따라 진행한다. 

 첫날 벌 한 마리, 

제 2일 두 마리, 

제 3일에 3마리, 

제 4일에 10마리를 쓴다. 

 이것이 제 1치료 기간으로 모두 55마리이다. 

 4~5일 지난 후 매일 3마리 벌로 쏘인다. 

 연속적으로 6주일 진행하여 병자가 140~150마리 벌에게 쏘이게 한다. 

 만약 2치료 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없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벌침인 꿀벌독에 대해서 <주의사항>으로 북한에서 펴낸 <동물성동약>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벌독은 결핵, 당뇨병, 선천성 심장병, 동맥경화증, 성병이 있는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하며 어린이와 노인은 벌독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이적으로 벌독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은 체질, 전염병, 결핵, 정신병, 간질병, 급성췌장염, 콩팥염, 부신피질질병, 아디손병, 패혈증, 급성축농증, 중추신경계통의 기질적 질병, 심장혈관계통의 대사기능장애, 전신쇠약, 출혈병, 월경때에는 쓰지 않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꿀벌의 독으로 류마티스에 근육, 관절통과 염증을 없애주며, 비특이성 다발성관절염, 근염, 신경근염, 좌골신경통, 신경통, 두드러기, 기관지천식 등의 알레르기성질병, 편두통, 메니에르증후군, 영양성 궤양, 육아성 창상, 폐쇄성심내막염, 혈전성정맥염을 치료한다.

그렇다. 

 꿀벌독이 유익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벌침을 사용할 때 반드시 중독 증상에 주의를 돌려야 하며 중독증을 미리 막기 위해서 처음에는 적은양으로 감수성을 검사하고 점차 양을 늘려나가야 한다. 

 잘못사용하여 하나뿐인 생명을 잃는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1 ]    벌독의 성분

 

 서울대 농대 교수였던 최승윤 교수의 저서에 보면 벌침의 효과는 혈액 순환을 왕성하게 하고 

조혈작용을 하며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으며 부신의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촉진하고 

소염,진통,진정작용을 하며 신경을 부활시키고 

혈액을 정화하여 병증을 원상으로 복구하는 작용을 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또한 보사부 심의를 위해 제출된 외국 개발 의약품의 임상자료 

인정여부 등 심의 보고서의 내용을 보면 

'벌독은 면역학적 원료로써 질병에 대한 신체의 보호기전을 자극하며 

동물실험중 강력한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면역력을 보강하는 사실이 있다. 

그리고 이례적으로 높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분들은 말초 및 중추신경 으로서의 자극전도를 차단하여 신경계에 유효하게 영향을 준다. 

그리고 하수체-부신계통의 기능적 활성을 높여주고 생체의 보호력을 발휘한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또한 벌침독은 얇고 투명하며 물이나 글리셀린이 주성분이며 

산에 잘 녹으나 알코올에는 거의 녹지 않으며 

비중은 1.1313 이며 섭씨 100도에서도 10일간 견디며 

아무리 차게 하거나 냉동 시켜도 

전혀 벌침독이 변형되거나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고 적혀 있습니다.


벌독의 성분은 윌리암 쉬프만에 의해 최초로 분리되었는데 

크게 효소군과 펩티트군과 기타 성분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먼저 효소군으로는 포스포리파제A 와 히알리노다제 와 포스파타제로 이루져 있으며 

둘째 펩티드군 으로는 메리틴과 아파민 그리고 카르디오펩으로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기타성분으로 극소량의 히스타민과 도파민과 노레피네프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다섯개의 주성분이 관심의 대상인데 

최근 호주에서 차세대 항암제로 개발했다고 하는 

벌독 성분의 50% 정도 차지하는 메리틴은 주입시 인체의 하수체-부신계를 자극하여 

카테콜라민과 코티숄을 방출시키며 나아가 심장평활근(平滑筋)의 수축을 촉진시키며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도와 동맥압을 저하시킨다고 하였고 

또한 특이한 점은 메리틴 성분이 신경의 세포나 섬유가 

혹처럼 된 세포에서 세포간의 신경충격의 전달을 

차단하는 능력 (Gangliolytic Action)을 행한다는 점입니다. 

이로써 메리틴은 우리몸에서 본태성 고혈압이나 

궤양이나 암 그리고 동맥이 막히는 증세인 폐색성 

동맥내막염이나 편두통이나 부종이나 기타 증세에 탁월한 효과를 낸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포스포리파제A는 메리틴과 유사한 변화를 일으키며 

아파민은 생리적 변화를 서서히 일으켜 면역력을 증강 하는 것으로 나오며 

히알리노다제는 효소군으로써 히알리노산을 분비하고 마지막으로 

카르디오펩은 부신을 자극하여 내인성 호르몬 즉 진통 호르몬을 방출시키는 작용 

이외에도 심장의 심근층에 직접 작용하여 

수축력과 심박수의 증가를 가져와 

부정맥증세나 심장성쇼크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을 나타내며 

혈액순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 2 ] 벌독의 성분 


꿀벌의 침에서 한번 사출(射出)되는 독의 양은 0.02㎎ 정도이다


        적은 양이지만 효소, 포리 팹티드, 미량(微量) 요소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혼합체이다


1) 팹티드(Peptides)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마른 벌독의 50~60%를 차지한다


  ① 메리틴(Mellitin) - 강한 용혈(溶血)작용, 항염(抗炎)작용, 면역(免疫)작용 

 

  ② 어파민(Apamine) - 항염, 면역, 진정, 흥분작용

 

  ③ MCD 페프짙(MCD Peptide) - 비만세포과립 감소작용, 항영작용.

 

  ④ 아돌라핀(Adolapin) - 항염, 진통, 진정작용

 

  ⑤ 프로티아제 인히비돌(Protease Inhibitor) - 단백효소 억제제

 

  ⑥ 세카르핀(Secarpin) - 저온증 및 진정작용에 좋다

 

  ⑦ 터티아핀(Tertiapin) - 항염작용

 

2) 효소(Enzymes)

 

  ① 히알우론산(Hyalaronidas) 분해효소 - 면역, 결합조직 구성성분

 

  ② 포스폴리피드(Phospholipid) - 생화학 작용

 

  ③ 알파 그로코시다제(α- Gloucosidase) - 항체역할 증가

 

  ※ 히알우론산 분해효소는 벌독의 향원성(鄕園性) 성분중 하나이다


      양봉가의 혈청에는 벌독의 히알우론산 분해효소를 중화하는 항체를 있다

 

      이 중성화 작용이 벌독의 면역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미량 요소


  ① 생물성 아민
 

    a. 히스타민(Histamine) - 혈압강하, 장관수축, 위산분비항진.

 

                                           피하주사시 발적(發赤)과 통증 가려움증 유발


     b. 도파민(Dopamine)

 

     c.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② 아미노산(Amino Acid)

  ③ 탄수화물(Carbohydrates)

 

  ④ 지질(脂質 Lipids)

     * 단백질, 염산, 인산, 유황,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아세틸코린 등 40여종 - 면역강화

 

     * 포스포리제A2 - 세포막 구성지질인 포스포리피트의 그리세린B에 결합하는 지방산을 유리시켜

 

   리조포스파짙 화하기 때문에 세포조직 파괴성(암세포파괴)과 용혈작용을 한다



출처 : 백년 건강
글쓴이 : 협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