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구안와사
구안와사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구안와사, 안면신경마비의 대부분은 원인불명인 특발성 안면신경마비 또는 벨마비이며, 대상포진이나 중이염 등과 같은 감염, 치과치료나 외상, 수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의 주요 원인을 풍한(風寒), 즉 찬 기운에의 노출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으며, 기허(氣虛), 혈허(血虛), 어혈(瘀血), 과다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칠정상이나 사려과다, 과음이나 과식 역시 구안와사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안와사는 흔히 말하길 얼굴이 돌아갔다...
혹은 삐둘어졌다고도 말하는 것으로 사진이나 영상으로 많이 보아온 질병입니다.
구안와사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으로는 한쪽 눈이 감기지 않거나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등의 가시적인 증상과, 환자 본인만이 알 수 있는 미각, 청각, 후각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구안와사를 안면신경마비라고 합니다
우리 얼굴 표정을 담당하는 근육인 안면신경이 제 역할을 담당하지 못해 얼굴 근육이 마비되고 돌아가거나 삐뚫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아래는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는 구안와사 증상 입니다
눈밑떨림은 구안와사의 대표적인 전조증상이기 때문에
미리미리 확인을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눈밑떨림, 눈꺼풀떨림을 한의학에서는 '안검경련'이라 부르는데요.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안륜근이 떨리는 증상으로
심한 경우 눈 주변 근육 마비와 시야장애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일시적인 눈밑떨림은 수면부족과 피곤한 상태에서 나타나기 쉽지만
증상이 며칠간 지속되거나 멈추질 않는다면
구안와사 전조증상임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눈밑떨림도 스트레스가 원인의 57%를 차지할 만큼
스트레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질환입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구안와사와 눈밑떨림을 떼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지요.
때문에 눈밑떨림을 그대로 방치하면 안되고
꼭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니 눈밑떨림도 치료하고,
구안와사도 미리미리 예방 하실 수 있습니다.
■ 구안와사 구안괘사 증상 알아보기
1. 한쪽눈이 감기지 않는다.
2. 한쪽눈으로 자꾸 눈물이 난다.
3. 웃을때 입이 한쪽으로 돌아간다.
4. 양치질을 할때 입에서 물이 줄줄 샌다.
5. 식사를 할때 음식물이 나도 모르게 샌다.
6. 귀 뒤쪽에 통증이 있거나 편두통이 심해진다.
7. 혀의 미각이 없어져서 밥맛을 잘 모른다.
8. 냄새를 맡지 못함.
9. 휘파람이 안불어진다.
10. 발음이 새고 말이 어눌해지기 시작.
뇌졸중이나 뇌종양과 같은 뇌 신경 질환, 급만성 중이염으로 인한 합병증, 대상포진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한 람세이헌트증후군 등의 구안와사라면 복합적인 검사와 치료를 해야합니다
구완와사에는 침 치료가 더 효과적입니다.
만약 바이러스성 염증때문이라면 바이러스 치료도 병행해야겠지요.
예를 들면 반란근 같은 약재로요.
전통적으로는 구완와사에 견정산 牽正散을 처방합니다.
흰바꽃(백부자), 전갈, 누에를 똑같은 양으로 갈아서 3 그램을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게 합니다.
풍을 다스리는 방풍, 형개와 얼굴로 약을 유도해주는 白芷, 천궁을 가미해주면 더 좋습니다
동씨침법
뜸으로 구완와사 치료하기
1. 동씨침법 : 족귀곡혈 (足鬼哭) 뜸으로 즉시 돌아온다
- 족귀곡혈의 뜸치료법
* 양쪽 엄지손가락 엄지 발가락을 묶은 뒤, 양쪽 은백혈, 소상혈 총 4혈에 동시에 7장에서 14장의 뜸을 뜬다
2. 동의보감
- 눈과 입이 삐뚤어지는 데는 지창, 협거, 청회에 자침하고, 다른 방법은 입이 좌측으로 삐뚤어진 데는 우측의 움푹한 곳에 자침하고 우측으로 삐뚤어진 데는 좌측이 움푹한 곳에 자침하고 뜸을 각각 27장씩 뜬다.
3. 허임 침구 경험방
- 구완괘사에는 합곡, 지창, 승장, 대영, 족삼리. 간사에 뜸을 각각 21장씩 뜬다.
- 특히 간사의 뜸이 중요하다. 좌측으로 삐뚤어진 데는 우측의 간사에 우측으로 삐뚤어진 데는 좌측의 간사에 각각 21장의 뜸을 뜨면 신효하다.
- 뜸을 뜬 다음에 환자로 하여금 불을 불어서 끄게 하면 입이 나은 것이다.
구성 한약 - 방풍, 방기, 육계, 행인, 황연, 백작약, 인삼, 천궁, 마황, 감초, 부자, 생강, 대추
중풍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눈과 입이 비뚤어지며 말을 하지 못하고 반신을 쓰지 못하며 팔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어지럼증이 있는데, 풍습으로 오는 비증 등에 쓴다. 뇌출혈과 뇌전색 후유증, 뇌연화증, 고혈압, 안면신경마비,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이 처방은 중추 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된 구안와사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구성 한약 중 부자의 경우 독성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몸에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자 처럼 독성이 있는 처방은 민간에서 스스로 시험삼아 처방해 복용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일 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상태에 따라 처방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드시 전문가의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안와사 3대 비방혈
1. 예풍
- 먼저 천피를 한 뒤, 건너편 눈을 향해서 1-1.5촌(3-5cm)을 자입한다.
2. 청회
- 천피한 후, 귀쪽으로 약 5도를 기울인 뒤, 1-1.5촌을 자입한다.
3. 견정
- 거료 방향으로 1-1.5촌을 자입하거나, 지창까지 투자한다.
위 3혈이 구안와사의 3대 비방혈로 지정되는 이유는
이 3혈의 아래에 구안와사를 일으키는 뇌신경 7번 안면신경의 핵심줄기가 있기 때문이다.
이외의 다른 특효혈들은 모두 풍을 제거하거나, 습을 제거하거나, 근육의 운동능력을 자극하는 것들이다.
- 일중혈, 이중혈, 삼중혈을 합하여 삼중혈이라고 통칭한다. 이 삼중혈을 방혈한다. 안면신경마비는 물론 삼차신경통,
각종 두통 등에 신효하다. 측삼리, 측하삼리 자침과 결합하여 더욱 효과가 좋다.
- 일중혈, 이중혈, 삼중혈, 측삼리, 측하삼리 위치는 “구안와사 특효비방혈” 을 참조
- 입이 돌아간 방향의 반대측이 환측(환부)임. 환부의 신경이 이완되거나 근이 긴장된 곳을
직접 점자방혈함.
이를 통해 (부항 사혈을 병행함)
경락중의 뭉쳐있는 검은 피를 배출하면 곧 효과를 본다.
2. 정통정경혈 점자출혈
- 견정(牽正). 지창, 화료, 협승장, 협거, 하관, 양백, 사백, 예풍, 태양, 유양돌기 하부 등을 점자 출혈하고, 주요혈과 보조혈의
자침 방법(“구안와사 정통 정경혈” 참조) 을 활용하면 신효하다.
- 유양돌기 하부는 뇌에서 사용된 혈이 돌아가는 정맥이 통과하는 곳이므로 작은 부항을 이용하여 부항사혈로 일정 정도
(1) 자침혈과 자침방법
- 핵심혈 : 견정, 풍지. 지창, 사백, 합곡, 양백, 인당
- 보조혈 : 인중, 협승장, 태양, 하관, 협거, 내정, 예풍, 사죽공, 사관혈
- 자침 방법
* 풍지와 풍지를 투자한다. 실제로 얼굴이 돌아오기 시작한 것은 풍지와 풍지를 투자한 뒤이다.
*
* 지창에서 협거로 투자한다.
* 예풍은 반대편 눈을 향해서 4-5cm 정도 깊이 넣었다.
* 합곡, 내정은 건측에 놓았다. 이는 수, 족 양명경의 열을 끄고 자극을 먼 곳에서 주기 위한 목적이였다.
* 양백은 환측에 눈썹 중앙까 투자했다.
* 인당은 아래쪽은 횡자 했다.
* 사죽공은 태양까지 횡자했다.
* 사관혈(태충, 합곡)은 이미 발병을 한 지, 10일이 지났기 때문에 기혈이 더욱 휴손되어 정체가 심하다고
판단하여 기혈을 보하게 하였다.
~~~~~~~~~~~~~~~~~~~~~~~~~~~`
근육을 지배하는 근육신경에 손상이 있게되면 근력이 상실되며
근력의 평형을 이루는 반대쪽의 근육에는 수축현상이 일어납니다.
신경의 손상을 약으로서는 완벽하게 치료하지 못합니다.
손상된 신경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려면 자연치유력의 증강을 이루는 자연요법을 실행하면 됩니다.
그러면 후유증 제로의 정상적인 회복을 이룹니다.
자연치유력에 의하여 손상된 신경의 치유가 이루어질 때에는
아주 특이한 명현반응이 손상된 신경부위에서 일어납니다
출처 --다음불로그
구안와사와 개구리자리
개구리자리 전초을 찟찌여 조개껍데기[비닐도 좋음]에 담아 와사풍 돌아간 반대편에 붙인다
조금 진나면 붙인곳이 아프면서 욱신거리고 열이 나는데 12시간후 떼여낸다
붙인자리에 물집이 생기는데
바늘로 터 트린뒤 침을 바르기를 하루 15회 이상 한다
일주일정도 하면 진물 더 나오지 않고 마르기 시작하면서 마비가 차츰 풀리기 시작하여
상처가 아물면서 완전 회복 된다
뺨에 남은 흉터는 3~4개월 지나면 아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흉터가 보기 ㅅ리으면 반대편 어깨.허벅지 다리 팔 등에 붙이는 방법도 있으나 80% 치료율을 보인다
관절염에도 같은 효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