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음료의 불편한 진실

늘피네 2015. 2. 15. 13:19

음식에는 그토록 까다로우면서,

왜 음료는 가볍고 단순하게 취급하는가?

전직 식품회사 연구원이 《진작 알았다면 결코 마시지 않았을 음료의 불편한 진실》을 통해 인류 역사상 가장 쓸데없는 가공식품인 음료가 숨기고 있는 불편한 진실을 낱낱이 파헤친다.

그동안 우리가 거짓일 거라고 한 치 의심조차 하지 못했던 음료에 대해 하나하나 되짚어보고,

음료회사는 말하고 싶지 않았지만 소비자는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들을 보여줌으로써 음료 섭취를 가벼이 여기는 현대인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다.
끼니도 아니고 간식도 아니고,

그저 물 대신 마신다고 생각하는 음료를 통해 우리는 지나치게 많은 양의 당분과 첨가물을 섭취하고 있다.

식약청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인 61.4g 중 전체 당 섭취량의 44.4%가 가공식품에 의한 것이었으며,

한국인의 당분 섭취 식품 1위는 커피, 2위는 주스로 상위권을 모두 음료가 차지했다고 한다.

음료를 통해 우리가 섭취하는 설탕의 양은 이미 상상 이상이다.

물이었다면 마시지 않았어도 될 당분과 첨가물을 음료를 통해 들이마시고 있는 것이다.
당분이슈뿐 아니라 논란이 많았던

커피믹스 속 카제인나트륨,

‘생으로 갈아’ 만들었다는 과일 주스,

값비싼 강화우유와 유기농 우유,

살 빠진다는 다이어트 음료 등에 대해서도 진실은 무엇인지,

눈여겨보아야 할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가감 없이 알려준다.

또한 자신의 음료 선택 점수를 체크해볼 수 있는 음료 체크리스트, 음료 용기에서 확인해야 할 9가지 리스트,

나만의 블랙리스트 만들기 등을 수록해 직접 자신의 식습관을 되돌아보고,

보다 건강하고 올바른 음료 선택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기사내용

체중의 55~65%를 차지하고 영양소와 노폐물을 운반해주는 역할을 하는 물.

체내에 수분을 10%만 잃어도 위험한 상태가 되고, 20~22%를 손실하면 생명을 잃게 될 정도로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권장 수분량은 1일 2.5리터, 하지만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국민 영양 조사 결과 한국인의 하루 평균 물 섭취량은 남자 0.98리터,

여자 하루 평균 0.74리터로 필요량의 절반에 불과했다.

재미있는 건, 물 섭취량은 줄어들고 있는 데 반해 음료 시장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소비행태의 기저에는 음료로 물을 대체할 수 있을 거라는 사람들의 안일한 생각이 깔려 있다.

사람들은 잘못된 식습관이 건강을 망친다고 생각하지만,

실상 우리의 건강을 망치는 주범은 설탕과 각종 첨가물로 뒤범벅된 시판 음료다.

10여 년 간 가공식품을 끼고 살다시피 하며 거의 모든 가공식품을 만들어 온 식품연구원이

《진작 알았다면 결코 마시지 않았을 음료의 불편한 진실》

을 통해 당연하게 마셨던 음료에 대해 경종을 울린다.

우리 몸은 수분만으로 충분한데,

입이 즐겁자고 마신 음료로 인해 각종 첨가물과 당분으로 몸은 점차 망가지고 있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저자는 광고 문구 속 달콤한 말에 속아 음료를 습관적으로 마셔 왔던 현대인들에게 음료는 만든 사람조차 가족에게 먹이지 않는 ‘가장 쓸데없는 가공식품’이며 물 대신 마시기에는 감당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은 첨가물 덩어리라고 가감 없이 털어놓는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커피믹스 속 카제인나트륨을 두려워하지만 실상 저자가 두려워하는 물질은 따로 있다든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마신 음료가 실상은 일주일에 25g밖에 빠지지 않는다든지,

가벼운 운동 뒤에 마신 이온음료가 오히려 살을 찌울 수 있다든지 등 사람들이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일깨워줌으로써 지금부터라도 습관적으로 마셔온 음료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종용하고 있다.

저자는 그동안 거짓이라 의심조차 해본 적 없었던 음료에 대한 굳은 믿음을 깨부수고,

음료회사는 결코 말해주지 않았지만 소비자는 반드시 알아야 할 음료 광고 속 꼼수와 표기법의 함정,

첨가물에 대한 진실을 낱낱이 알려준다.

또한 안전하다고 먹으라는 정부와 식품회사,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하는 전문가그룹 사이에서 중심을 잡고 건강한 식생활을 사수하는 방법과 함께 끊을 수 없다면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

아이들에게 유해할 수 있는 음료 속 성분 리스트’,

‘음료 용기에서 확인해야 할 9가지 포인트’ 등을 제공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나만의 블랙리스트 만들기’를 통해 책을 읽으면서 싫어하게 된 첨가물을 다시금 정리해보고,

제시된 저자의 블랙리스트를 참고하여 자신만의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보다 건강한 생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몸에 좋은 음료는 어디에도 없다!
음료회사는 절대 알려주지 않았던 숨겨진 이야기

커피믹스에서 진짜 나쁜 건 카제인나트륨이 아니다!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의 주성분이며, 1일 허용섭취량이 정해지지 않은 안전한 성분이다. 진짜 문제는 프림 속 식물성경화유지! 포화지방으로 각종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을 불러오는 주범이다.

무첨가는 또 다른 첨가를 부른다!
착향료와 설탕을 뺐는데도 향과 맛이 달콤한 건, 대신 다른 첨가물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특히 설탕 대신 들어가는 액상 과당은 설탕의 모든 유해성에 독자적 유해성까지 지닌 몹쓸 대체첨가물이다.

오렌지주스는 절대 ‘생’일 수가 없다!
펄펄 끓여 만든 농축과즙에 물과 각종 첨가물을 섞어 만든 게 오렌지주스다. 과일처럼 비타민C를 얻겠다고 마셨다가는, 얼마 안 되는 영양분 얻겠다고 온갖 첨가물을 들이마시는 꼴이 된다.

제로 칼로리 음료는 체중을 증가시킨다!
제로 칼로리를 가능하게 하는 건 소량만으로도 설탕의 150~200배가량의 단맛을 내는 합성감미료다. 하지만 합성감미료는 입맛을 왜곡시키고 더욱 당분을 갈구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어린이 음료는 어린이가 마시면 안 되는 음료다!
한국소비자원이 어린이 음료 17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17개 제품 모두 충치와 비만을 유발할 위험이 컸다고 한다. 어린이 음료 중 정작 어린이에게 추천할 만한 제품은 1개도 없었다는 사실!

이온음료에는 각설탕이 12개나 들어 있다!
이온음료는 물과 설탕의 혼합물이다. 백설탕을 탄 정제수에 탄산과 카페인을 넣으면 탄산음료, 전해질과 각종 첨가물을 넣으면 이온음료가 된다. 탄산음료와 배합 구조가 거의 같다는 사실!


음료의 불편한진실 ㅡ 황태영 지음  에서



효소 적고, 당은 많고..효소식품의 불편한 진실 2014.01.23


...민 음료의 불편한 진실.. 과일주스, 탄산음료와 다르지 않아요 2013.01.22


탄산음료 많이 마신 어린이, 유방암 가능성 높아 2015.01.30


출처 : 백년 건강
글쓴이 : 협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