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골담초
골담초속
속명: Caragana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골담초속
골담초속(Caragana)은 콩과의 한속이다. 국내에는 3종 1변종이 알려져 있다.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
국내서식 골담초속 (Caragana) 4종 바로가기
골담초(Caragana sinica (Buc)
반용골담초(Caragana sinica var. megalamtha Schneid)
좀골담초(Caragana microphylla Lam.)
참골담초(Caragana koreana Nakai)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
참골담초 (Caragana koreana Nakai)
국내서식 골담초속 (Caragana) 4종 특징비교
1.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2쌍씩 붙어 있고 호생하며 엽축 끝은 대개 가시로 되고 소엽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두껍고 미요두 또는 원두이며 길이 1~3cm로서 표면은 진록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회록색에 털이 없다. 탁엽은 길이가 4~8mm로 가시로 변한다.
협과는 길이가 3~3.5cm로서 원주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지만 결실이 드물다.
꽃은 5월에 피고 단생하며 길이가 2.5~3m로서 처음에는 황색으로 피어 후에 적황색으로 변하고, 아래로 늘어져 핀다. 화경은 길이 1cm 정도로 중앙부에 한 개의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갈색 털이 약간 있다. 기판은 좁고 긴 도란형이며 미요두이고 상반부는 황적색, 하반부는 연한 황색이며 익판은 황색이고 용골판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황갈색이다.
위를 향한 가지는 사방으로 늘어져 자란다. 가지는 5개의 능선이 있고 회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시가 있다.
잔뿌리가 길게 자란다.
골담초 (Caragana sinica (Buc)
2. 반용골담초 (Caragana sinica var. megalamtha Schneid)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2쌍씩 붙어 있고 호생하며 엽축 끝은 대개 가시로 되고 소엽은 4개로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두껍고 미요두 또는 원두이며 길이 8-17㎜로서 표면은 진록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에 털이 없다. 탁엽은 길이가 4~8mm로 가시로 변한다.
협과는 길이가 3~3.5cm로서 원주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지만 결실이 드물다.
꽃은 5월에 피고 단생하며 길이가 2.5~3m로서 처음에는 황색으로 피어 후에 적황색으로 변하고, 아래로 늘어져 핀다. 화경은 길이 1cm 정도로 중앙부에 한 개의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갈색 털이 약간 있다. 기판은 좁고 긴 도란형이며 미요두이고 상반부는 황적색, 하반부는 연한 황색이며 익판은 황색이고 용골판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황갈색이다.
위를 향한 가지는 사방으로 늘어져 자란다. 가지는 5개의 능선이 있고 회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시가 있다.
.
3. 좀골담초 (Caragana microphylla Lam.)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2쌍씩 붙어 있고 호생하며 엽축 끝은 대개 가시로 되고 소엽은 12-18개로서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두껍고 미요두 또는 원두이며 길이 1~3cm로서 표면은 진록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에 털이 없다. 탁엽은 길이가 4~8mm로 가시로 변한다.
협과는 길이가 3~3.5cm로서 원주형이고 털이 없으며 9월에 익지만 결실이 드물다.
꽃은 5월에 피고 단생하며 길이가 2.5~3m로서 처음에는 황색으로 피어 후에 적황색으로 변하고, 아래로 늘어져 핀다. 화경은 길이 1cm 정도로 중앙부에 한 개의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갈색 털이 약간 있다. 기판은 좁고 긴 도란형이며 미요두이고 상반부는 황적색, 하반부는 연한 황색이며 익판은 황색이고 용골판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황갈색이다.
위를 향한 가지는 사방으로 늘어져 자란다. 가지는 5개의 능선이 있고 회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시가 있다
좀골담초 (Caragana microphylla Lam.)
4. 참골담초 (Caragana koreana Nakai)
잎은 어긋나고 짝수 깃꼴겹잎이며 잎축 끝부분은 보통 가시가 된다. 작은잎은 8∼10개인데,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길이 1∼3cm이다. 끝은 둥글거나 오목 들어가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다. 겉면은 윤이 나고 뒷면은 털이 없으며 턱잎은 길이 4∼8cm의 가시로 된다.
열매는 원기둥처럼 생긴 협과로서 길이 3∼3.5cm이고 9월에 익는다
꽃은 5월에 노랑빛을 띤 붉은빛으로 피는데, 길이 2.5∼3cm로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약 1cm이고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갈색 털이 난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다
줄기는 어두운 녹색이고 가지는 잿빛을 띤 갈색이다. 가지는 위를 향하여 퍼지고 5개의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다.
참골담초 (Caragana koreana Nakai)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이삼규의 산과야생화 / http://blog.daum.net/samlee/7352229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담초 뿌리 37~74그램, 돼지 족발 1개에 술과 물 각 절반쯤을 붓고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골담초 뿌리 및 줄기, 꽃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비장과 신장의 허약으로 인하여 생긴 백대하, 노상(癆傷)과 혈허(血虛)로 인하여 생긴 풍증, 습열(濕熱)로 인하여 생긴 소양증
골담초의 뿌리 껍질과 닭고기를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중경초약]
2, 고혈압
골담초를 깨끗이 씻은 다음 겉껍질을 벗겨내고 얇게 썰어서 신선한 것 혹은 말린 것을 매일 30~37그램을 달여서 취한 즙에 설탕 적당량을 넣어 하루에 3번 나누어 복용한다. [전전선편, 내과]
3, 여성의 월경 불순
골담초 뿌리, 당삼(黨參)을 달인 물을 복용한다. [남경민간약초]
4, 여성의 백대하
① 골담초 뿌리, 황설탕을 달인 물을 복용한다. [남경민간약초]
② 골담초의 뿌리껍질, 백계관화(白鷄冠花), 우슬(牛膝)을 함께 식초로 볶은 다음 다시 물, 식초 각 절반쯤을 붓고 작은 사발의 1/2로 졸아들게 달여서 할에 3번 나누어 복용한다. [사천중약지]
5,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담초 뿌리 37~74그램, 돼지 족발 1개에 술과 물 각 절반쯤을 붓고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6, 타박상
골담초 뿌리를 짓찧은 즙과 술을 함께 복용하고 그 찌꺼기를 주머니에 넣어 아픈 곳에 댄다. [만씨가묘방]
7, 비를 튼튼하게 하고 신을 자양하며 눈과 귀를 밝게하는 처방
골담초 꽃과 돼지고기를 함께 끓여서 먹거나 또는 계란과 함께 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
8, 건혈로(乾血勞: 여성이 월경이 나오지 않아 신체가 쇠약해지고 피부가 까칠까칠해지며 안색이 검어지는 악성빈혈의 일종)
골담초 꽃 148~250그램 또는 신선한 꽃 1~1.5킬로그램을 찐 다음 여러 번 나누어 복용한다. [합서초약]
9, 머리가 아프고 아찔한 증상
골담초 꽃 37그램, 천마 2.9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합서초약]
10, 폐결핵으로 인하여 생긴 기침
꿀을 섞어 구운 골담초 꽃 37그램, 비파우(枇杷芋), 강활(羌活) 각 11.1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합서초약]
11, 타박상
말린 골담초 꽃 3.7그램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술로 복용한다. [백초경]
12, 고혈압 [임상보고]
골담초 뿌리의 겉껍질을 벗겨 내고 얇게 잘라 햇볕에 말려서 25.9~37그램을 달여서 취한 즙에 설탕 적당량을 넣어 1일 두 번 내지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100례를 관찰한(혈압이 160/100 mmHg 이상인 자)결과 혈압이 내려간 치료 효과는 아래와 같다.
고혈압 2기-저효(著效: 1964년 중국 심혈관병 회의에서 규정한 표준에 의한다.
아래도 같음) 19례, 유효 41례, 무효 18례였다.
고혈압 3기-저효 2례, 유효 7례, 무효 8례였다.
산후의 고혈압-유효 2례, 무효 1례였다.
신성(腎性) 고혈압-저효 1례, 유효 1례였다.
총유효율은 73%였다. 심장이완기(확장)의 혈압이 10mmHg이상 내려가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혈압이 내려가기 시작한 것은 약 75%가 1주일 이내에 혈압이 내려가기 시작하였고 소수가 3~4주일 후에 혈압이 내려가기 시작하였다.
일차적인 관찰에 의하면 본 약재가 여러 가지 유형의 고혈압에 대하여 모두 혈압을 강하하는 작용이 있고 특히 고혈압 2기의 환자에 대하여 그 효과가 비교적 좋았다.
간혹 일반 양약으로서 낮추지 못하는 혈압도 낮출 수 있었다.
소수의 병례는 약을 복용한 후 혈압은 내려가지 않았지만 증상이 뚜렷하게 호전되었다.
골담초뿌리의 혈압강하 효과와 복용량, 복용기간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매일 25.9그램을 복용하여도 효과가 없던 사람이 37그램으로 증가시켰을 때 혈압이 내려가기 시작했다.
또 일부의 병례는 일주일간 복용기간을 연장하면 열압강하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심근(心筋)이 손상된 고혈압 환자가 이 약을 복용하면 혈압이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심전도 재검사에서 손상된 심근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치료후 환자 방문 지도(퇴원 또는 치료 완료 후에 환자의 건강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정기적인 방문과 서신연락 또는 의료기관에서의 재검사 따위를 행하는 것)에 의하면
5%의 병례가 반년간 약을 쓰지 않았지만 혈압이 다시 높아지지 않았는데 이것은 이 약의 혈압강하 효과가 비교적 강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약물과 백과엽(白果葉)의 extract를 함께 복용하면 혈압강하 작용외에 cholesterol과 인지질의 비례도 개선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reserpine과 함께 복용하면 골담초 뿌리나 reserpine을 단독으로 쓰는 것보다 효과가 뚜렷하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결명(草決明), 청목향(靑木香)과 복방으로 조성하여 쓰면 치료효과가 역시 높아지는데 64례를 관찰한데 의하면
총유효율이 90%에 달하였고 60%이 병례가 복용 4~5일후에 혈압이 내려가기 시작하였다.
이 약은 부작용이 극히 적고 겨우 3례만이 각기 피부가려움증, 두드러기와 과민성 피부염이 나타났으며 2례가 복용 후 기침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