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
<모란>
특징: 줄기는 높이 3m 정도 까지 자라고 털이 없다. 잎은 2회 우상복엽으로 3겹으로 되어있고 작은잎은 피침형으로 3~5갈래로 갈라진다. 뒷면에 잔털이 있다. 양성화인 꽃은 5월에 가지 끝에서 자주색으로 1개씩 달린다. 꽃은 크고 소담하며 개량종이 많아 빨강, 노랑, 보라 등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진다. 꽃잎은 8개 이상, 꽃받침잎은 5개이고 다수의 수술과 2~6개의 암술이 있다. 골돌과인 열매는 혁질로 7~9월에 익는다.중국 원산인 낙엽활엽관목으로 흔히 함경북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꽃생김새: 양성화인 꽃은 가지 끝에서 자주색으로 1개씩 달림. 꽃은 크고 소담하며 개량종이 많아 빨강, 노랑, 보라 등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짐. 꽃잎은 8개 이상, 꽃받침잎은 5개이고 다수의 수술과 2~6개의 암술이 있음.
심는 방법: 농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번식 방법인 포기나누기(分株)는 9월 중, 하순경에 수확한 굵은 뿌리를 잘라내고 새싹을 2~3개씩 붙여 잔뿌리가 달린 채로 쪼개서 심는다. 이때 쪼갠 부위를 베노밀 수화제 400배액이나 재로 소독한다. 이랑너비를 90cm로 하고 포기사이를 60cm로 하여 20cm 깊이로 심는다.준비물) 분주법으로 파종 시 베노밀수화제 400배액, 재가꾸기포인트) 목단은 천근성 식물로 얕게 심어야 한다. 깊게 심으면 뿌리의 발생 수는 많으나 성장이 좋지 못하고 비대한 좋은 뿌리의 수확량이 적어진다.
기후, 토양조건: 기후조건) 비교적 추위에 잘 견디므로 고랭지가 아니면 재배가 가능하지만, 비교적 따듯한 남부지방이 유리하며 중부이북지방에서는 재식초년도에 겨울동안 안전한 월동을 위하여 피복재배하는 것이 좋다.토양조건) 천근성 식물로 토심이 50cm 정도만 되면 재배상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토양은 물빠짐이 좋고 유기물 함량이 많은 식양토가 재배에 적합하며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므로 심기 전에 석회를 충분히 넣어 중화시켜준다.
물, 거름주기: 거름주기) 보통 한 번 파종 시 5년 이상 재배하므로 석회를 10a당 200kg 이상 시비하고 석회 시비 후 2~3주 후에 퇴비 2,000kg, 계분(닭똥) 200kg, 인산 10kg(용인 45kg), 칼리 10kg을 시비하고 1주일 후 정식한다. 웃거름은 2년차 5월 중순 이후에 포기당 복합비료(17-17-17) 25g 정도를 주고, 8월 하순~9월 상순에 퇴비를 주당1~1.5kg씩 포기 사이에 준다.
수확하기: 포기나누기 방법으로 심은 것은 4~5년, 종자로 심은 것은 6~7년 후에 수확이 가능하다.
질병: 관련질병) 회색잿빛곰팡이병, 백견병, 선충질병증상) 회색잿빛곰팡이병: 이른봄 꽃봉오리, 꽃잎, 잎자루에 발생하며 심하면 줄기까지 말라 죽는다. 질소비료 과다 시용 시, 비가 자주 왔을 때 발생한다. 백견병: 줄기의 지상 접촉부위에 갈색균핵이 형성되고 주위 흙에 백색 균사가 퍼지는데 6~9월에 많이 발생한다.질병치료법) 회색잿빛곰팡이병: 6-6식 보르도액을 살포한다.백견병: 뽑아 불태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