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느릅나무효과

늘피네 2012. 8. 1. 17:11

 

느릅나무의 뿌리껍질을 유근피라 하여 비염에도 쓰입니다.

보리차 끓이듯 연하게 달여드셔도 좋습니다.

오가피는 혈액순환과 면역력을 향상에 효능을 보이며 부작용이 없으니 함께 달여드시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느룹나무(유근피)의 효능,효과

 

예로부터 느릅나무는 이른 봄이나 가을에 뿌리 껍질을 벗겨서 약재로 쓰여 왔습니다

느릅나무 껍질을 물에 담가 두면 끈끈한 진이 많이 나오는데, 씨에도 끈적끈적한 점액질이

들어 있습니다.

끈끈한 점액질 성분이 갖가지 질병에 효능을 나타내 줍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부드러워 이뇨작용을 좋게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고, 부은 것을 가라앉힌다 나와 있습니다.

 

느릅나무의 효능을 보면 뿌리 껍질은 소염과 항균작용을 해주는 성분 있어 종창이나

종기를 낫게하는 약재로 쓰입니다. 또한 느릅나무는 대장과 방광 근육의 운동을 강화

하여 대변과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약한 기침을 멎게 해줍니다.

 

한방에서는 뿌리껍질을 달여서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대장궤양, 축농증, 비염등

의 치료에 쓰이고 있습니다.

 

열매와 잔가지는 위암 치료에 쓰기도 합니다. 느릅나무의 열매는 회충, 촌충, 요충 같

은 뱃속의 기생추을 죽이는 약으로도 높은 효능 보여 줍니다

 

느릅나무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수면제 봄철에 돋아나는 어린 순을 끓여 먹으면

불면증도 말끔히 사라지며, 뿌리의 점액질을 피부에 바르거나 먹으면 피부에 탄력을

주고 매끄러워집니다.

그리고 비염과 아토피 피부염에도 좋은 효과있습니다.

 

성분: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용혈지수 1:1,900), 타닌질(3퍼센트), 많은 양의 점액질, 잎에 플라보노이드, 씨에 점액질, 쓴맛물질, 타닌질이 있다.

 

작용: 뿌리껍질은 작은 창자와 방광평활근의 운동을 강화시키며 기침멎이작용, 수렴작용, 항염증작용 한다.  열매는 구충작용, 항균작용, 약한 설사작용 한다.


 

응용: 동의보감 치료에서 껍질을 달여 위아픔, 허리아픔 먹는다. 

염증약으로 고약을 만들어 곪은 상처(젖앓이)에 바른다

열매(무이)는 회충증, 촌충증, 요충증, 소화가 안 될 때 벌레떼기약, 약한 설사약, 소화약으로쓰며 피부병에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

 

***************************************************************************

 

**응용방법(민간요법)

 

 

느릅나무 뿌리껍질은 위궤양·십이지장궤양·소장궤양·대장궤양갖가지 궤양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고 부종이나 수종에도 효과가 크다.
위암이나 직장암 치료에도 쓰며 오래 먹어도 부작용이 없다.
위·십이지장·소장·대장궤양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가루와 율무 가루를 3:2의 비율로 섞어서
반죽하여 시루떡이나 국수로 만들어 먹으면 맛도 좋고 치료 효과도 좋다.

 

위암에는 꾸지뽕나무와 느릅나무 뿌리껍질, 화살나무를 함께 달여서 그 물을 마시고
직장암이나 자궁암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달인 물로 자주 관장을 한다.

 

**************************************************************************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과 옥수수 수염을 각각 40그램씩 섞은 다음
물을 2리터쯤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을 마신다.
부종이 있을 때는 잘게 썬 느릅나무 뿌리 속껍질 40그램에 물 1리터쯤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물로 밀가루반죽해 수재비.국수같은것을 만들어 먹는다.

 

***************************************************************************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진하게 달인 물과
죽염을 3:1의 비율로 섞은 다음 그 물을 탈지면에 묻혀
잠자기 전에 콧속에 넣는다.
처음에는 따갑고 아프지만 1~2개월 계속하면 대개 낫는다.

 

느릅나무 잎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수면제이다.
느릅나무는 천지의 음기를 받아 자라는 나무인 까닭에
뿌리껍질을 채취하거나 말릴 때 햇볕을 보면
약효가 반 이하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해가 뜨기 전인 새벽에 뿌리껍질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두고 약으로 써야 한다.
또 달이는 것보다 날로 쓰는 것이 효과가 훨씬 더 세다.

 

***************************************************************************

 

 

끈적끈적한 진이 많이 생기는데
그 진을 먹거나 피부에 바른다.

 

피부에 바르면 금방 스며들며
피부를 아름답고 매끄럽게 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내용출처 : http://cafe.naver.com/livingarom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59

 

느릅나무는 약효가 뛰어나서 많이들 이용하시죠~

 

비염·축농증 치료에 효과가 있구요.

 

뿌리껍질을 약으로 쓰기도 해서. 갖가지 종기나 종창에 신기한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소변을 잘 나오게하고 살결을 아름답게 합니다.

 

그 껍질을 유피,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하는데요

 

여러종류의 느릅나무가 있는데요

이 나무들은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생김새만 다를 뿐 잎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같답니다.

 

 

이건 뉴스검색에서 나온 결과인데요

한의원 선생님이 알려주신 내용들이랍니다.

 

참고하세요 ^ ^

 

 

 
◇ 느릅나무 껍질 (벗겨서 그늘에서 말려야 한다)


▶느릅나무 뿌리껍질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궤양, 대장궤양 등 갖가지 궤양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부종이나 수종에도 효과가 크다. 위암이나 직장암 치료에도 쓰며 오래 먹어도 부작용이 없다.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궤양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 가루와 율무가루를 3:2의 비율로 섞어서 반죽하여 시루떡이나 국수로 만들어 먹으면 맛도 좋고 치료 효과도 좋다.

 

▶위암에는 꾸지뽕나무와 느릅나무 뿌리껍질, 화살나무를 함께 달여서 그 물을 마시고 직장암이나 자궁암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달인 물로 자주 관장을 한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느릅나무 뿌리껍질과 옥수수 수염을 각각 40g씩 섞은 다음 물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을 마신다. 부종이 있을 때는 잘게 썬 느릅나무 뿌리 속껍질 40g에 물 1리터쯤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과 밀가루 떡을 빈 속에 먹는다. 이는 하루에 먹을 양이다.

 

▶축농증이나 비염에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진하게 달인 물과 죽염을 3:1의 비율로 섞은 다음 그 물을 탈지면에 묻혀 잠지기 전에 콧 속에 넣는다. 처음에는 따갑고 아프지만 1~2개월 계속하면 대개 낫는다.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물에 담가 두면 끈적끈적한 진이 많이 생기는데 그 진을 먹거나 피부에 바른다.

죽염을 섞어 피부에 바르면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피부를 아름답고 매끄럽게 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느릅나무의 껍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질이 풍부합니다. 그래서 유근피는 소장과 방광의 평활근운동을 강화시켜 건해작용, 수렴작용, 항염증작용을 합니다. 최근의 실험결과 유근피 추출물은 간암, 위암, 유방암 등의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함이 증명되었기도 합니다.
유근피의 항염증작용으로 비강과 부비동의 염증상태를 가라앉혀 부종을 줄이고 분비물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점입니다. 유근피의 진득한 진액을 얻을 수 있다면 이액을 바로 비강 안에 도포해주는 방법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유근피는 ‘코 나무’라고도 하고 유근피는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입니다. 느릅나무의 원래 한약명은 ‘유피(楡皮)’입니다. 유근피를 끓이면 콧물같이 끈적거린다 하여 ‘코 나무’라 하는 것입니다.
영지버섯이나 느릅나무도 좋지만, 우선 코를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코 알레르기 전문병원에서 정확하게 항원검사를 하고 항원이 발견되면 그에 대한 적절한 탕약치료와 코 물리치료를 해야 합니다. 그 후 치료가 되면 재발을 막기 위해 영지버섯이나 느릅나무로 차를 만들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 알레르기는 영지버섯 차, 축농증에는 느릅나무 차가 더 효과적입니다.
내용출처 : 영동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