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스크랩] 광나무.여정목.

늘피네 2012. 8. 16. 08:08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노화를 막는...

 

 

잎, 가지, 열매를 그늘에 말려 사용한다.

열매가 약성이 가장 좋은데 열매는 쪄서 말려야 한다.

 

* 백혈구의 생존기간을 연장시켜 면역기능을 높인다.

* 간과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기때문에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허리와 무릎이 아픈것을

  고치며 음이 허하여 생기는 일체의 병증을 치료한다.

 

<한국본초도감>에 의하면 여정실은 

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큰키나무 광나무, 제주광나무의 숙성한 열매이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시원하다.

* 간신음허로 인한 어지럼증 및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을 치료하고 머티털이 일찍 희어지는것을 막는다.

* 간신음허로 정혈이 부족해서 시력이 악화되거나 눈이 침침할 때 숙지황, 구기자와 함께 사용한다.

* 강심, 이뇨작용과 간 기능 보호작용

* 건강한 사람의 림프 세포의 모세포 전화작용을 촉진시킨다.

* 항암효과에도 활성반응을 보인다.

* 고지혈증 환자가 1개월간 복용하여 총 콜레스테롤치를 70.6% 내렸다.

 

 

광나무는 소금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한 나무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열매를 여정자라고 하는데 대개 술을 담가 먹거나 그늘에 말려 가루내어 먹는다.

오래먹으면 신장이 튼튼해 지고 양기가 좋아지며 뼈와 근육이 강해진다.

 

술로 담글때는 까맣게 익은 열매를 동지 무렵에 따서 재료의 3~4배정도의 술을 붓고 6개월 후에 건데기는 건져내고 술만 아침 저녁으로 조금씩 마신다.

 

가루로 먹을때는 열매에 술을 뿜어 한번 찐 다음 그늘에 말려 가루를 낸다.

하루에 3번 한숫갈씩 먹는다.

 

엑기스를 만들때는 열매 잎 가지 등을 채취하여 잘게 썬다음 물에 넣고 3~5일동안 달인다.

오래 달일수록 좋다. 이것을 한찻숟가락씩 더운 물에 타서 마신다.

 

 

 

09. 11.30. 신의도 섬에서 담장목으로 심어놓은것 촬영

 

 

 

 

 

 

 

 

 





 

 


 

 

건조된 광나무 열매인 여정실로 발효액을 만들었습니다.

생각보다 보관상태도 좋고하여 다릴까 하다가 발효액으로 선회 휴일을 이용하여 작업돌입.

세척을하니 건조된 약한 열매인지라 자주색 물이 시커멓게...

아이고~~ 아까워라.

일차세척을 마치니 5kg 여기에 생수 6리터를 넣고 백설탕 9kg으로 배합을 했더니 재료가 1/2정도 잠기고 만다.

생수2~4리터 정도와 백설탕 3kg정도를 추가해야 할것 같다.

건조된 것이라 절임도 할 수 없고 재료의 량이 많다보니 설탕을 녹이는 일도 만만치 않고....

암턴 고생좀 했다.

 

 

상태가 좋아 약성 역시 좋을듯 싶다.

위의 약성을 기대하며 기다릴것이다.

 

 건재라 생수도 준비하고.

 


1. 약재에 대하여

광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딸인 늘 푸른 떨기나무다.

정목 또는 여정목이라고 부르며 그 열매를 여정실(女貞實)또는 여정자라고 한다.

정절을 지키는 여자처럼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고고하고 푸른 자태를 그대로 지니고있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의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이나 섬지방의 야산에 흔히 자란다.

키는 5m, 직경 20cm쯤 자라며 원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난다.

생장이 빠르고 맹아력이 강해서 수형을 마음대로 다듬을 수 있으므로 울타리로 흔히심는다.
열매는 길이 7~10mm로 10월에 까맣게 익어 겨울 동안 매달려 있는데 그 생김새가 쥐똥을 닮았다.

 

2. 약성 및 활용법

광나무는 함성, 즉 소금 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한 나무 중의 하나다.

그런 까닭에 여느 난무보다 훨씬 오래 살고, 또 죽은 뒤에도 수백 년, 혹은 수천 년 동안 썩지 않는 특성을 지녔다.

간과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기 때문에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허리와 무릎이 아픈 것을 고치며, 음이 허하여 생기는 일체의 병증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심장이 튼튼해지며, 눈앞에 헛것이 왔다갔다하는 증상, 이명, 가슴이 두근거리는 심계, 현기증, 신경쇠약, 근골이 쑤시고 결리는 것,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시큰거리는 증상 등을 치료한다.
노인이 오래 복용하면 흰머리가 검은 머리로 바뀌면서 젊음을 되찾는다고 하며, 여성이 먹으면 몸에서 향기가 나고 피부가 고와지며 대하증이나 냉증 등도 낫는다.

특히 여성이 광나무 열매를 늘 복용하면 질투심이 없어지고 정숙한 사람으로 바뀐다는 말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잎, 열매, 가지 등 어느 부분이나 약으로 쓸 수 있다.

 

3.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1).  광나무 열매는 예로부터 자음생정약(滋陰生情藥)으로 유명하여 늘 먹으면 정기가 증강되고 무병장수한다.

임상실험에서도 백혈구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켜 면역기능을 높이는 것이 인정되었다.
술에 담가 먹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를 내어 먹는데, 오래 먹으면 신장이 튼튼해지고 양기가 좋아지며 뼈와 근육에 좋다. 

2). 광나무 열매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실험 결과도 나와 있다.

간암, 위암, 백혈병, 식도암 등에 효과가 있다.
종양 치료에 쓸 때는 잎이나 줄기를 그늘에서 말려 두었다가 진하게 달여서 복용한다.

3). 줄기를 쓸 때 : 잘게 썰어서 10시간 이상 달여 그 물을 한번에 컵으로 한잔씩 하루 세 번 마신다.

4). 잎을 쓸 때 : 아무 때나 채취하여 물로 씻은 다음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햇볕에 말리면 약효가 없어지므로 주의한다.

대개 한 달쯤이면 완전히 마른다.
마른 잎을 분쇄기에 넣어 가루로 만들면 녹색의 고운 분말이 되는데 이것을 그릇에 담아두고 하루 3번, 한번에 찻숟갈로 1~2숟갈씩 더운물에 타서 마신다.
광나무 잎 가루를 밥에다 섞어 먹을 수도 있다.

5). 열매를 쓸 때 ; 광나무 열매를 차로 만들어 마시는 방법도 있다.

열매는 겨울철에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찜통에 한번 쪄서 말려서 쓴다.

말릴 때 곰팡이가 피거나 벌레가 먹지 않도록 주의한다.

날 것을 그대로 말리면 벌레가 생기기 쉬우나 쪄서 말려 주면 벌레가 잘 생기지 않는다.
1~2개월쯤 잘 마른 광나무 열매를 믹서기에 넣고 거칠게 가루 내어 하루 10~15g을 달여서 마신다.

너무 많이 마시면 약성이 지나쳐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6). 이명증이나 정력증간 노화를 방지하는 데에는 광나무 엑기스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

열매, 잎, 가지 등을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 잘게 썬 것을 솥에 넣고 물을 적당히 넣고 고약처럼 될 때까지 오래 달인다.

24시간~48시간쯤 약한 불로 오래 달일수록 좋다.

숟가락으로 떠서 물엿처럼 길게 늘어지면 엑기스가 다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을 깨끗한 통에 놓아 두고 반 찬숟가락씩을 더운물에 풀어서 마신다.
광나무 엑기스는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는다.

광나무 엑기스를 먹고 잘 낫지 않던 이명증, 간염, 위장병, 어지럼증, 요통, 허약체질 등이 개선된 사례가 많다.

 

 

 

[여정실(女貞實)] 
【이명】 동청, 납수, 당여정, 서재목, 여정자, 동청자, 여정
【기원】 목서과(물푸레 나무과 Oleaceae)에 속한 상녹소교목인 광나무(여정실)의
           과실또는 동과의 당광나무의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엽은 난형 또는 피
           침형이며 잎밑이 예리하고 예첨하며 거치가 없으며 혁질이고  배면의 엽
           맥이 불명하다. 꽃은 복총상화서이고 정생했으며 화관은 방추형이고  백
           색이며 6월에 핀다.  과실은 핵과이고 타원형이며 11월에 흑숙한다.
【학명】 1. Ligustrum japonicum Thunberg (광나무)
           2. Ligustrum lucidum Aiton (당광나무)
【형태】 본품은 장타원형을 이룬 핵과인데 길이가 0.5~0.8cm, 직경이 0.3~0.5
           cm이다.  외면은 흑자색이고  내부에는 복면에 종으로 흠이 있고 적갈색
           장형의 종자를 포장하였다.
【산지】 전남, 경남, 제주지방과 중국의 강소, 안휘, 사천, 호남, 호북, 석강,
           복건, 광동, 운남, 등지에서 산한다.
【성분】 엽과 수피에는 배당체 Syringin, Scharose, Emulsin, lnvertin 등을 함
           유하고  과실에는 Mannite, 우루솔산,  오레아놀산, 아세칠 오레아놀산
           을 함유하였고  종자에는 지방유, 14.9% 를  함유하였다.
【성미】 성은 평무독하고 미는 고감하다.
【귀경】 입신경(익음제열지품)
【주치】 익간신, 안오장, 강요슬, 명이목, 오수발, 보풍허, 제백병.
【해설】 여정실은 천지지음의 기를 품하고 생하였으므로 능동불주하고 기박미후
           하여  음중의 음에 속한다.  성이 강하고 신경에 입하여 음수를 보익하
           고 음수가 족한 칙 목명퇴열하고 이와 같은 즉 오장이 안하여지고 정신
           을 양한다.
           안컨데 본품은 청량성 자양강장제로서  진정작용을 겸유하여 허열을 퇴
           하고 만성뇌충혈, 신경쇠약으로 일어나는 허약흥분증, 예를 들면 골증,
           조열, 두운, 심계, 목현, 실면, 시력감퇴, 이명, 유정, 변비 등에 적용
           하여 공효가 있다. 또한 경임파선결핵, 폐결핵의 조열에 용하며 엽에는
           해독진정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수치】 동지날에 채취하여 주증하여 용한다.
【용량】 6~12g
【금기】 감모초기와 위한설사자는 복용을 기한다.
【배합예】
           1. 여정실에 지황, 하수오, 인삼,  맥문동, 한련초, 남촉자, 우슬, 구기
              자, 산약, 몰식자, 상심자, 황백, 귤홍, 연수를 배합하여 백발변흑의
              요약이 되고,
           2. 감국, 생지황, 백질려, 구기자를 배합하여 명목하고,
           3. 귀판, 생지황을 배합하여 자음강화하고 허열두운을 치하고,
           4. 황백, 측백엽을 배합하여 몽유를 치하고,
           5. 생지황, 백작약, 치자, 국화를 배합하여 이명, 목현을 치하고,
           6. 한련초,  상심자,  지황,  하수오, 인삼, 치자, 맥문동을  배합하여
              허손열병을 치한다.
 
【異名】 冬靑, 蠟樹, 唐女貞, 鼠梓木, 女貞子, 冬靑子, 女貞
【基源】 木犀科(물푸레 나무과 Oleaceae)에 屬한  常綠小喬木인 광나무(여정실)
           의 果實또는 同科의 당광나무의 果實을 乾燥한 것이다. 葉은 卵形 또는
           披針形이며 잎밑이 銳利하고 銳尖하며 鋸齒가 없으며 革質이고  背面의
           葉脈이 不明하다.  꽃은 複總狀花序이고 頂生했으며 花瓘은 紡錘形이고
           白色이며 6月에 핀다.  果實은 核果이고 楕圓形이며 11月에  黑熟한다.
【學名】 1. Ligustrum japonicum Thunberg(광나무)
           2. Ligustrum lucidum Aiton(당광나무)
【形態】 本品은 長楕圓形을 이룬 核果인데 길이가 0.5~0.8cm, 直徑이 0.3~0.5
           cm이다. 外面은 黑紫色이고  內部에는 腹面에 縱으로 흠이 있고 赤褐色
           長形의 種子를 包藏하였다.
【産地】 全南, 慶南, 濟州地方과  中國의 江蘇, 安徽, 四川, 湖南, 湖北, 淅江,
           福建, 廣東, 雲南, 等地에서 産한다.
【成分】 葉과 樹皮에는 配糖體 Syringin, Scharose, Emulsin, lnvertin 등을 含
           有하고 果實에는 Mannite, 우루솔酸, 오레아놀酸, 아세칠 오레아놀酸을
           含有하였고 種子에는 脂肪油, 14.9%를 含有하였다.
【性味】 性은 平無毒하고 味는 苦甘하다.
【歸經】 入腎經(益陰除熱之品)
【主治】 益肝腎, 安五臟, 强腰膝, 明耳目, 烏鬚髮, 補風虛, 除百病.
【解說】 女貞實은 天地至陰의 氣를 稟하고 生하였으므로 凌冬不駐하고 氣薄味厚
           하여 陰中의 陰에 屬한다.  性이 降하고 腎經에 入하여 陰水를 補益하고
           陰水가 足한 則 目明退熱하고  이와 같은  즉 五臟이 安하여지고 精神을
           養한다.
           按컨데 本品은 淸凉性 滋養强壯劑로서 鎭靜作用을 兼有하여 虛熱을 退하
           고 慢性腦充血, 神經衰弱으로 일어나는 虛弱興奮症, 例를 들면 骨蒸, 潮
           熱, 頭暈, 心悸, 目眩, 失眠, 視力減退, 耳鳴, 遺精, 便秘등에 適用하여
           功效가 있다.  또한 頸淋巴腺結核, 肺結核의 潮熱에 用하며 葉에는 解毒
           鎭靜作用이 있다고 하였다.
【修治】 冬至날에 採取하여 酒蒸하여 用한다.
【用量】 6~12g
【禁忌】 感冒初起와 胃寒泄瀉者는 服用을 忌한다.
【配合例】
           1. 女貞實에 地黃, 何首烏, 人蔘, 麥門冬, 旱蓮草,南燭子,牛膝,枸杞子,
              山藥,  沒食子, 桑芯子, 黃柏, 橘紅, 蓮鬚를  配合하여  白髮變黑의
              要藥이 되고,
           2. 甘菊, 生地黃, 白嫉藜, 枸杞子를 配合하여 明目하고,
           3. 龜板, 生地黃을 配合하여 滋陰降火하고 虛熱頭暈을 治하고,
           4. 黃柏, 側柏葉을 配合하여 夢遺를 治하고,
           5. 生地黃, 白芍藥, 梔子, 菊花를 配合하여 耳鳴, 目眩을 治하고,
           6. 旱蓮草,  桑芯子,  地黃,  何首烏, 人蔘, 梔子, 麥門冬을  配合하여
              虛損熱病을 治한다.
 

 

 

출처 : 우리땅약초
글쓴이 : 藥山 원글보기
메모 :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돌배의효능  (0) 2012.08.17
[스크랩] 민들레의 개요와 효능  (0) 2012.08.16
[스크랩] 항암 약초의 모든것  (0) 2012.08.15
[스크랩] 속새  (0) 2012.08.15
[스크랩] 씀바귀와 무의 신비한 효능  (0) 2012.08.14